청와대-한나라 이번엔 경제문제 공방

입력 2004-08-09 11:30:13

국가 정체성 논란에 이어 경제 위기론을 두고 청와대와 야당이 맞부딪히고 있다.

8일 이병완(李炳浣) 대통령 홍보수석비서관이 "언론이 경제전망 비관론만 부각시킨다"고 쓴소리를 하자 한나라당이 "청와대와 열린우리당만 모르는 경제위기"라고 되받아쳤다.

한나라당은 9일 "노믹스는 '무경제(no economics)'라는 뜻이냐"고 반문하면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경제관련 대선공약을 지키기보다 상황악화나 시키지 말았으면 좋겠다"고 일침을 놨다.

노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250만개 일자리 창출 △7% 경제성장 △완전고용 달성 △서울대 수준 지방대 20개 육성 △코스닥 활성화 등을 내걸었으나, 정작 △4만5천개 일자리 축소 △2.3% 성장 △청년실업 8% 육박 △ 코스닥 주가 사상 최저의 성적을 얻었다는 것이었다.

이정현(李貞鉉) 부대변인은 "진단이 정확해야 처방전도 정확히 나올 것인데 위기를 위기가 아니라고 하고 비관을 낙관이라고 하니 이 돌팔이 경제전문가들이 그대로 있는 한 우리나라 경제회복은 기대하기 힘들 것 같다"고 비난했다.

한나라당 정책위는 아예 13쪽 분량의 자료집을 내고 '현 정권의 위기는 경제가 가장 싫어하는 '5대 실정(失政)'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대학 운동권 스타일의 국정운영 △과거타령, 조상 탓만으로 돌리는 '못난이 스타일의 국정운영' △엉터리 대형 국책사업 남발 △대중 인기주의, 사회주의 색깔의 정책 집행 △국가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린 경제정책 등을 5대 실정으로 꼽았다.

이한구(李漢久) 정책위의장은 "분배를 우선시하는 정권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주류 세력 교체, 과거사 들추기 등 이념논쟁적 정책에만 신경 쓰다보니 경제문제는 뒷전으로 밀리고 경제위기 피해는 고스란히 서민.중산층에 전가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신 한나라당은 경제위기 해결방안으로 중소기업과 지방경제를 위해 한시적 특별지원 조치와 감세정책 도입 등을 포함한 '친(親) 시장 정책'을 제안했다.

이에 앞서 8일 이병완 수석은 "이헌재 부총리가 올해와 내년에 5%대 경제성장이 가능하다고 했지만 언론이 이를 묵살하고 비관적인 부분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경제를 살려야 한다는 의지나 대안보다는 거꾸로 가는 느낌의 기사가 많은데 이는 경제에 대한 저주가 되는 것"이라며 "이를 선순환으로 이끄는 저널리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