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든, 밖이든...고양이 '소탕민원'

입력 2004-08-09 11:54:50

주택가와 인근 야산에 나도는 고양이가 급격히 늘면서 이로 인한 시민들의 불만도 잇따라 대구시가 골머리을 앓고 있다.

고양이들이 어두운 밤길에 갑자기 튀어나와 길가던 시민과 운전자들을 놀라게 하는가 하면 문밖에 내놓은 음식물 쓰레기를 뒤져 난장판을 만들어 놓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대구시와 한국동물보호협회에서 추정하고 있는 대구 도심의 고양이 수는 어림잡아 4,5만 마리 정도.

올들어 고양이로 인해 한국동물보호협회 대구본부에 접수된 민원 건수도 하루 평균 10여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또 이와는 별도로 각 구청의 지역경제과 유기동물 담당과 환경관리과의 자연생태보전 야생동물 담당에게도 지난해까지 없었던 고양이 관련 문의가 계속 잇따르고 있다.

민원의 주요 내용은 '집 주변의 도둑고양이를 잡아달라'는 것과 '자신이 키우는 집고양이를 버리겠다'는 것.

그러나 턱없이 부족한 인력과 예산때문에 민원이 들어와도 제대로 조치하기 힘든 실정이다.

대구의 7개 구청 지역경제과에는 유기동물 처리 및 관리비용으로 1천만원씩의 예산이 배정되어있지만 이 돈으로는 버려진 개(Dog)를 처리하는 데도 부족, 고양이 문제는 손을 대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것.

중구청 지역경제과의 홍주연 유기동물 담당자는 "고양이는 임신기간이 2개월정도 밖에 되지 않고 한번에 새끼 5,6마리를 낳아 번식이 빠르다"며 "하지만 포획한 고양이의 불임시술 비용만도 10만∼15만원에 달해 자치단체 차원에서 고양이를 잡아들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시 차원의 대책도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

대구시는 지난 2월 자연보호단체의 건의에 따라 예산 3천여만원을 책정, 생태계를 파괴하는 들고양이와 유기 고양이 등을 포획해 죽이거나 불임시술을 해오고 있으나 고양이 마리 수는 오히려 증가 추세에 있는 것.

시 환경정책과 김창수 자연생태담당은 "고양이 문제는 대구 뿐 아니라 전국적인 골칫거리로 등장했다"며 "환경부와 농림부에서도 서로 책임을 떠넘기려하지 말고 정부차원의 책임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금선란 한국동물보호협회장은 "지금 드러나 있는 고양이 문제는 빙산의 일각"이라며 "특별한 천적이 없는 고양이를 계속 방치해둔다면 생태계 교란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생활에도 큰 불편과 위험을 안겨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권성훈기자 cdrom@imaeil.com

사진 김태형기자 thkim21@imaei.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