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실업 '해법 찾기'-경북도 14개사업 제시

입력 2004-03-24 13:40:51

청년실업을 해소하려면 인력수급 불일치를 조정하는 등 일자리 분야별 유형에 따라 사업을 다르게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북도 정책기획팀(팀장 김지섭)은 최근 펴낸 시책자료집 '클릭 CEO'에서 △인력수급 불일치 조정 및 기업유치 △일자리나누기 △공익성 일자리 창출 등 3개 분야 14개 사업 등 다양한 일자리 창출방안을 제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부족 근로자수를 현재 근로자수로 나눠 백분율화한 산업인력부족률의 경우 생산관련직이 3.97%, 단순노무직으로 2.27% 나타난 반면 젊은층들의 선호직종인 관리.전문.기술직은 1.14%였다.

또 300명 이상 대규모 사업장은 0.55%에 불과했다.

선호직종과 기업규모에 따라 인력수급 불균형이 극심하다는 사실을 방증한 수치다.

정책기획팀은 이를 위해 도와 시.군에 '일자리 수급불균형 조정센터'를 운영해 청년 미취업자들이 영세사업장에 취업을 꺼리는 잘못된 직업관을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4월초 개최되는 행정산업정보박람회와 함께 구인업체가 구직자를 찾아가는 방식으로 차별화된 맞춤형 청년취업박람회를 개최하고 대학, 공무원교육원 등 다양한 장소에 취업정보망, 직업훈련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대졸 실업자 중 구직희망자를 대상으로 도 공무원교육원에서 2개월 정도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30만원 가량의 교육수당을 지급하고 프로그램을 지역기업과 연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특히 안동소주, 경주.문경의 석재, 포항 과메기, 경주 황남빵, 예천 양궁.상주 자전거 등 스포츠산업까지 지역전통특화산업으로 육성한다면 지역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와 더불어 지역경제 주체들간 정례적 대화를 통해 실업해소 등 중.장기 지역경제 현안 전반을 논의하는 도정 최고경제자문기구인 '경북경제지도자회의'를 개최할 것도 제안했다.

또 임금피크제 도입, 근무방식 변경, 일자리 승계 등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 외에 '사회적 일자리 지원센터'를 운영, 문화 및 관광분야와 문화재 보존관리 등 민간비영리단체를 통한 공공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박운석기자 stoneax@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