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고기는 추운 겨울에도 어떻게 살아남을까.
물은 항상 표면부터 언다. 만약 물이 밑바닥부터 언다면 물고기들은 모두 멸종했을 것이다.물의 독특한 성질은 4℃에서 가장 밀도가 높다는 것이다. 즉 0℃때 물이나 얼음의 밀도가 4℃ 물의 밀도보다 낮다.이 때문에 밀도가 낮은 호수나 강물의 표면이 얼어도 밀도가 높은 밑바닥은 얼지않아 물고기나 기타 수중 생물이혹독한 겨울을 날 수 있게 된다.
물의 밀도는 100℃에서 ㎤당 0.958g이며 온도가 내려가면 밀도는 높아서 4℃가 될 때 밀도가 ㎤당 1g이 된다.즉 높은 온도에서 4℃까지는 물도 다른 일반물질과 같이 온도가 떨어지면 부피가 줄어들고 밀도가 커진다. 그러나 온도가 4℃보다 낮아지면 물의 밀도는 커지지 않고 오히려 작아진다.
특히 물이 액체에서 고체(얼음)로바뀌는 0℃에서는 밀도가 8%정도 급격히 줄어 부피가 늘어난다. 따라서 얼음은 물보다 가벼워 물위에 뜬다. 생명체들의 조상이 혹독한 빙하기를 견뎌냈던 것은 물이 4℃에서 밀도가 가장 높은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겨울이 되어 기온이 내려가면 차가워진 호수 표면의 물은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즉 무거워지기 때문에 호수 아래로 가라앉는다. 이러한 현상은 물의 온도가 4℃로 내려갈 때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호수 표면의 온도가 4℃보다 더 내려가면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즉 가벼워져서 밑으로 가라앉지 않고 표면에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따라서 표면의 물이 담요처럼 밑의 물을 덮어준다.
따라서 기온이 0℃ 이하로 떨어지면 먼저 표면이 얼지만 그 얼음층 밑은 액체 상태인 물로 남아 있게 된다. 얼음이 두꺼워질수록 단열효과가 커지므로 호수 밑바닥까지 어는 경우는 거의 없다.따라서 호수 바닥의 물고기들은 얼지 않고 겨울을 날 수 있는 것이다.
최창희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구과학관 내부 성범죄 묵인…'재워주겠다' 발언에 신체 접촉까지
민주당 압박에 '흔들리는 법원, 무너지는 검찰'…내부선 "스스로 지켜야" 목소리
김미애 "이재명 'HMM 부산 이전 공약' 철회, 부산시민께 사과해"…민주 "공약대로 추진"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1차 시한' 넘겨…앞으로 지지율이 변수
국방부 "주한미군 4500명 이동 배치, 韓美 논의사항 전혀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