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석유가격이 이라크의 석유수출 중단 등에 자극받아 22일 폭등, 지난 91년 1월 걸프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뉴욕시장의 서부텍사스중질유(WTI)는 이날 배럴당 26.70달러(내년 1월 인도분기준)에 개장돼 한 때 27.15달러까지 치솟았다 지난 주말보다 배럴당 56센트 오른 26.70달러에 마감됐다. 뉴욕시장의 석유 선물가격은 이달중에만 5.30달러 이상 올랐다.
런던시장의 북해산 브렌트유는 내년 1월 인도분이 걸프전 후 최고 수준인 배럴당 25.90달러까지 상승했다 지난 주말보다 46센트 오른 25.53달러로 폐장됐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기준유가는 지난주 평균 24.35달러를 기록, 일주일 전의 23.33달러보다 1달러 이상 올랐다고 빈에 본부를 둔 OPEC 사무국이 22일 밝혔다.
전문가들은 OPEC 회원국을 비롯한 산유국들의 석유생산량 감축으로 유가가 강세를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석유수요의 3% 가량을 충당하는 이라크가 석유수출중단을 선언함에 따라 유가가 크게 뛰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란이 캉 및 라반 섬의 석유 터미널들을 통한 이달말과 내달의 석유 수출을 중단키로 한 것도 유가 강세를 부채질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유가 강세가 현 추세로 지속될 경우 연내 배럴당 30달러 돌파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유가가 계속 치솟을 경우 시장의 수급 기능과 선진국들의 정치적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면서 한 예로 미국이 막대한 원유 비축분을 일부 풀거나 그럴 수 있음을 경고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관측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