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들은 준법의식이 강하면서도 어려운 일이 생기면 법과 원칙에 따르기보다는 청탁이나 뇌물을 통해 해결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국정홍보처가 지난 12일부터 이틀간 전국의 성인 남녀 1천여명을 대상으로 한 '사회문제인식과 행위'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25일 밝힌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들은 '우리 사회에서 부정부패는 어느 정도 용인되어야 한다'는 의견에는 반대(80.1%)하면서도 '문제발생시 대화보다는 시위와 폭력 등 힘을 통하거나 청탁이나 뇌물 등을 통해 해결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지적됐다.
그러나 본인이 직접 청탁이나 뇌물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경우는 소수(17.1%)에 불과했다.
또 경제회복을 위한 구조조정 지속에 대해서도 72.0%가 찬성했으나 본인이 실직하거나 피해를 입었을 경우 수용하겠다는 의견은 58.4%로 다소 이중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쓰레기장 등 주민기피시설 수용여부에 대해서도 '주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서라도 정부가 추진해야 한다(46.0%)'는 입장과 '추진해서는 안된다(48.3%)'는 입장이 팽팽하게 맞섰으나 본인 주변지역의 경우에는 반대(51.1%)가 다소 높았다.
이밖에 부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대부분이 '돈을 많이 버는 것보다는 어떻게 버느냐가 더 중요하다(89.7%)'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徐明秀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