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대구에 온 국민회의 한화갑사무총장은 지역의 현 정권에 대한 비우호적 정서를 의식한 듯"대통령은 특정지역의 대통령이 아니며 대한민국의 대통령"이라면서 "예산도 과거보다 더 많이 내려오고 있고 경북 북부지역 등 소외지역에서도 인정받으려 노력하고 있다"며 '오가는 정'을 거듭 강조했다.
-여야 정치개혁협상의 핵심인 선거구제 문제가 꽉 막혀 있다. 여권내에서 정당명부제를 취하는 대신 소선거구제를 유지하거나 도농 복합선거구제 등을 도입하자는 얘기들이 나오고 있는데.
▲향후 협상과정에서 여러가지 모색이 있을 수는 있지만 공동여당 단일안은 중선거구-정당명부제다. 다른 얘기들은 개별적으로 나온 얘기일 뿐이다.
-자민련과의 합당과 관련 특히 지역 자민련에서 반대 목소리가 높다.
▲합당의 유.불리를 자민련에서 생각하는 것 같고 이 곳 자민련 인사들도 지역정서를 의식하는 것 같다. 그러나 무리하게 자민련과 합당해야 한다고 생각지 않는다. 선택은 자민련에 달려있고 싫다면 할 수 없는 것이다.
-합당없이 선거구제 협상 결과 소선거구제로 갈 경우 공천문제 등으로 공동여당의 공조가 깨어지는 것 아닌가.
▲소선거구제하에서도 지난 재.보궐선거에서 보듯 충분히 연합공천이 되지 않았나. 그런 관례를 모범삼아 통합이 안되면 안되는대로 공조체제를 굳건히 해 나갈 것이다. -그렇게 되면 공천 잣대를 어떻게 할 것인가가 논란이 될 것인데.
▲물론 공천에서 떨어지는 이들이 무소속 등으로 입후보하는 경우 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당선가능성을 포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객관적 기준은 공정한 기관의 여론조사, 각 지역 여론수렴, 상향식 공천 등을 통해 마련할 방침이다. 대통령도 공천에 작용하는 것이 이번이 마지막인 만큼 국민이 납득할만한 공천으로 지지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신당창당과 관련, 최근 지역출신 창당준비위원으로 발표된 6명에 대해 지역을 대표하는 인사로 보지 않는 분위기다. 지역을 대표할 중량감있는 인사를 얼마만큼 영입하느냐가 관심사가 되고 있는데.
▲신당 영입인사 접촉은 신당발기인들이 하고 직접 관여는 않지만 직.간접으로 좋은 사람들을 추천해 오고있는 것은 사실이다. 20여명 이상 추천이 들어와 있다. 한 지역에 오래 살았다는 것보다는 중앙에서 활동하며 지역 명예를 빛낸 것도 중요하지 않나. -재벌개혁과 관련, 비판적인 시각도 적지 않은데
▲DJ가 추진중인 재벌개혁은 21세기 세계와의 경쟁에서 이겨나갈 수 있는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것이지 특정재벌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과거 정권과 같은 정경유착을 끊었다. 재벌개혁은 재벌에게 약점을 잡히면 절대 이뤄질 수 없다. -내년 총선에서 지역에서 몇 석을 목표로 하고 있나.
▲한석이라도 얻을 수 있었으면 하고 기대한다.
한총장은 23일엔 지역상공인들과 그랜드호텔에서 조찬간담회를 가진뒤'김대중납치사건'사진전이 열리는 포항으로 떠났다.
裵洪珞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