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국감-대구대

입력 1999-10-14 15:20:00

대구대에 대한 13일 오후 교육위의 국정감사는 수준이하였다.

여야 의원들은 질의를 하면서 "대구대가 왜 국감대상으로 선정되었는지 알 수가 없다"며 증인 및 참고인으로 출석한 학교와 구재단관계자들에게 "이유를 아느냐"고 물었고 이들도 "알 수가 없다" "의문이다"라며 솔직한 답변을 피했다.

김춘일 교수협의회장, 장화환 전미래대교수협의회장 등 증인들은 "지난 93년 관선이사 파견 이후 대구대가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는데 사립학교법을 개정, 임시이사의 임기를 2년으로 제한, 올 연말로 현이사진의 임기가 끝나는데다 총장선거까지 겹쳐 과거와 같은 학내분규가 재발할 소지가 있다"며 개정된 사립학교법을 비판했다.

그러나 박윤흔총장이나 이성대이사장 등은 "설립자가 명백하고 설립이념이 뚜렷한 만큼 언젠가는 학교를 구재단 측에 넘겨 공익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당장은 구재단 측과 화합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구재단 측을 대표한 이예숙 전대구미래대학장도 국민회의 노무현의원이 "학교를 되찾는 것이 대구대를 정상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아니라고 대답했다가 보다못한 한나라당 이재오의원이 구재단 측과 현이사진 측이 내놓은 각종 자료와 유인물들을 들어보이면서 "양 측이 모두 왜 나왔는지 모른다고 하는데 정직하지 못하다"고 질책하자 그제서야 김춘일 교협회장이 "문제가 있다"고 시인했다. 노의원은 "관선이사의 임기가 끝나면 뜻있는 사람을 찾아서 다음 이사를 선임, 교육부에 승인을 신청하면 되지 않느냐"며 현이사진들을 비판했다.

이전학장은 교육부에 대한 표적감사 청탁으로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은데 대해 교육자로서의 도덕성문제를 집중공격당했고 박총장과 관선이사진 측은 대명동캠퍼스 운동장의 주차장 변경 문제 등을 지적받았다.

徐明秀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