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론 다시 고개

입력 1999-10-12 15:32:00

한동안 잠잠하던 대구시와 경북도의 통합문제가 최근 다시 대두, 지역의 최대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행정구역 통합문제는 최근 경북도청 국정감사에서 이의근 지사가 의원들의 이같은 질문에 '검토해 보겠다'고 답변, 가능성을 내비침에 따라 증폭된 것이다.

특히 IMF체제 이후 지방자치단체들이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어 상호발전적인 측면에서 대규모 광역권 행정체제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제기되고 있고 최근 정부도 동해권, 서해권, 중부내륙권 등 특성있는 권역별로 국토를 개발하겠다고 장기 계획을 밝힘에 따라 통합론은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는 실정이다.

시.도 통합론에 가장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곳은 대구시. 시는 "도행정과 대도시 행정은 수행방법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난다"며 통합론을 일축하고 있다. 특히 시도의 통합은 행정계층이 하나 더 늘어나는 결과가 돼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고 효율성을 떨어뜨린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히려 대구, 포항, 안동 등 도시권역위주의 개발이 필요하므로 경산, 칠곡, 청도 등 일부지역을 대구로 편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이같이 경북도와 대구시의 입장이 전혀 달라 통합론은 양 기관의 '밥그룻 싸움'으로 치닫고 있지만 상당수 시민들과 행정전문가들은 이 기회에 양지역의 발전적인 방향이 합리적으로 제시돼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구시의 한 관계자도 "대구시와 경북도는 완전 보완관계에 있는데 분리됨으로 인해 사실상 문제가 많다"며 "통합론이 신중히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광주시와 전남도의 경우 단체장 민선 1기부터 '전남지역의 공동발전'을 위해 통합론이 강력히 대두됐다. 특히 단체장들은 '선 통합, 후 도청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울 정도였는데 주민들의 여론 수렴 결과 전남도는 대체로 찬성하는 반면 광주시는 대체로 반대함으로써 아직까지 결론을 내지 못하고있다.

따라서 대구.경북지역에도 통합론을 행정기관의 말장난으로 그칠것이 아니라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등 지역민들의 의견을 청취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尹柱台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