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5명이 발가벗고 술을 마시는 장면을 담은 소주광고에 이어 밤 도심 한복판의 포장마차에서 4명의 여성이 나체로 즐겁게 술자리를 갖는 모습을 담은 광고가 지난 달 나왔었다. (여인들은 반투명의 포장막에 가리어져 뒷모습만 보인다)
그 광고가 계속 나오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어떤 종류의 문제가 발생한 것 같다. 그러나 왜? 라고 묻고 자초지종을 알아볼 만큼 한가하지 않을 뿐 아니라 도무지 시답지 않아 알아볼 생각도 없다. 1999년 현재 대한민국 윤리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모르나 "문제될 게 무언가, 사진구석에 좀 너덜한 데가 있어서 그렇지 꽤 신선하게 느껴진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니까. (문제가 없는 것이라면 게으름과 지레짐작 탓이겠다)
덕지덕지 붙은 광고문안을 빼고 이 사진을 보자. 그래봤자 이 사진은 상업사진이다. '성의 상품화'의도를 금방 느낄 수 있다. 여인들의 종아리가 나란히 보이는 사진 하반부- 거기에 나타나는 벗어던진 하이힐과 란제리, 그리고 또 하나의 옷. "여인들이 벗었다는 것을 확실히 알립시다"라고 말하는 광고제작 참여자들의 웃음이 눈에 선할 정도다.
그렇더라도 이 광고사진은 현대인에게 어필하는 메시지를 지닌 것 같다. 유사한 아이디어나 구도로 예술사진도 가능하다고 보고 싶다. 이렇게 생각할 수 없을까.'한 사진작가가 4명의 여성과 함께 작업을 한다. 여성들은 밤 도심 한가운데 포장마차에서 나체로 술을 마신다. 사진작가는 그 장면을 앵글에 담는다'
지난 시대 예술가들은 인간의 육체-'몸'을 신이 만든 가장 아름다운 창조물로 그려왔다. 낭만적이었다고나 할까. 그러나 지금 '몸'은 인간의 마지막 자유를 상징하는 것이 되고 있다. 현대의 삶은 지난 시대 사람들을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게 했던 '자유로운 정신'을 앗아가 버렸다. '몸'은 꼼짝 못하게 구속하는 그 무엇에 저항하는 마지막 자연, 마지막 절규일 수 있다. 도시의 밤을 배경으로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아보려는 시도는 신선하다.
'벗은'자체가 강한 상징이 되는 그 사진 속에 왜 너덜하게 속옷들을 나열하나! 장삿속은 한심했지만 그런대로 광고였다.
(주)세기 대표이사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