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는 하나의 결과를 놓고 이를 보는 시각이 주어진 입장에 따라 전혀 상반되게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이 테마가 많은 이들의 공동관심사가 될때는 시정의 장삼이사(張三李四)로 발언할 권리를 갖게된다. 더구나 이 테마란 것이 우리 국민 누구도 외면하지 않는 교육문제가 되면 관심의 촉각은 더욱 곤두서는 것. 중앙교육진흥연구소가 88년, 서울.부산 등 5개지역, 7개고교 1학년생들에게 치렀던 국어.영어.수학.과학 등 4개 과목의 표준학력검사를 지난 3월말, 동일지역.학교 1학년들에게 다시 치르게 한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다. 우선 총점(400점)을 비교했을 때 88년의 평균은 259.6이던 것이 금년엔 224.7로 무려 34.9점이나 낮아졌다. 과목별로는 수학만 64.6으로 88년보다 3.4점이 올랐을 뿐 국어는 14.1점, 영어 14.3점, 과학 10점씩 낮아져 11년전과 교육의 질을 놓고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우선 교육기관의 한 담당자의 '11년전과 지금은 교육과정이 크게 달라졌고 암기능력보다는 창의력을 중시하는 시점에서 단순비교는 의미없다'는 말이 눈길을 끈다. 결과론이지만 엄청난 학력저하를 놓고 분석했다는 결과가 얼핏 머리에 들어오지 않는다. 사실 국어.영어.수학.과학 등 이른바 주요과목들은 11년전에도 암기위주의 과목이 아니었기 때문. 차라리 시험을 주관했던 담당자의 변인 '올해 고1의 경우 88년과 달리 고입 무시험전형에 해당돼 중학교 성적만으로 고교진학이 가능했다'는 설명이 더 설득력을 얻는다. 그야말로 단순비교로는 다소 무리일 수 있으나 영어.수학.과학에 발군의 실력을 지닌 어느 과학고 출신이 암기위주의 타과목 내신때문에 서울대에 떨어진 사례가 있다. 이 학생은 그후 미국의 MIT에서 4년전면장학생조건을 내세우는 바람에 결국 MIT행을 택했다. 국가가 필요로 하는 특정분야의 영재를 미국으로 내쫓는 우리교육, 생각할 점이 없는가? 최창국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