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문체부 '이전 공방' 끝났지만 갈 길 먼 활용계획
북구 주민들은 "문화시설 유지" 한목소리
대구시 산격청사(옛 경북도청) 후적지 개발이 10년째 표류하고 있는 이유는 정권 변화와 시장 교체, 정부 부처 간 이견이 반복되면서 활용 계획이 수차례 뒤집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6년 2월 경북도의회가 안동 신청사로 이사를 하면서 경북도청의 산격동 시대는 마무리 됐다. 그해 9월 대구시청 창조경제국이 경북도청 후적지 건물로 이사를 시작하면서 산격청사 시대가 사실상 시작됐다.
산격청사의 개발 논의 출발점은 윤석열 정부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가 경북도로부터 1천841억 원을 들여 부지 대부분을 매입했다. 전체 부지는 14만2천㎡, 건물은 51개 동이며 이 가운데 문체부 소유 부지는 10만4천㎡, 건물 37개 동이 해당된다.
문체부는 국립근대미술관, 국립뮤지컬컴플렉스 등 대규모 문화콤플렉스 조성을 계획했다. 수도권에 집중된 국가 문화 인프라를 지방으로 확장하겠다는 취지였다.
◆ 홍준표 달성군 이전 추진 '삐걱'
2023년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취임하면서 산격청사 활용 논의는 또 한 번 큰 변화를 맞았다. 홍 전 시장은 산격청사가 신청사 건립 지연으로 당장 비울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을 이유로 들어, 문체부가 추진하던 문화콤플렉스 사업을 달성군 옛 대구교도소 부지로 이전하자고 제안했다.
대신 산격청사 부지는 경북대–삼성창조캠퍼스–엑스코를 잇는 이른바 '트라이앵글 창업 특구'로 조성해 산학연 클러스터, 스타트업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그러나 문체부는 접근성·상징성·도시 균형발전 등을 이유로 "문화허브는 산격청사가 적지"라는 기존 입장을 굳게 유지했다. 결국 대구시의 이전 추진은 난항을 겪었고 사업은 사실상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후 홍 전 시장이 퇴임하면서 트라이앵글 특구 구상도 추진 동력을 잃고 현재는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 대구신청사 건립 난항도 '걸림돌'
대구시 신청사 건립 문제도 후적지 활용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신청사가 완공돼야 현재 산격청사에 입주해 있는 대구시청 각 부서가 옮겨가고, 그 후에야 산격청사 부지 개발이 본격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청은 조직이 커지면서 주변 건물을 임차해 '셋방살이'를 해왔다. 2016년 2월 경북도청이 안동으로 이사를 가고 빈터가 된 후적지에 그해 9월 창조경제국을 시작으로 경제부시장 산하 부서가 이사를 시작했다. 2023년 민선8기 출범 이후 홍준표 시장이 시장실까지 산격청사로 옮기면서 산격청사 시대가 본격 시작된 것이다. 이후 기획조정실, 행정국 등 주요 부서들이 이전하며 산격청사는 사실상 별관이 아닌 '본관 역할'을 하게 됐다. 명칭도 별관에서 정식으로 '산격청사'로 변경됐다.
이런 상황에서 달서구 두류정수장 후적지에 들어설 예정인 신청사가 준공되기 전까지는 산격청사 후적지 개발이 사실상 불가능한 셈이다.
◆ 복잡한 소유 구조… 문체부 70% 보유
산격청사 부지 개발이 난관에 빠진 또 다른 이유는 복잡한 소유 구조 때문이다. 전체 14만2천여㎡ 중 약 73.5%가 문체부 소유다. 경북경찰청이 있는 부지는 토지는 경북도, 건물은 경찰청 소유이며, 경북교육청이 있던 건물 역시 경북교육청이 소유하고 있다. 과거 경북도청 내 '안가(安家)' 역시 경북도 소유로 남아 있다. 청사 내 도로와 일부 건물은 대구시 소유다. 이처럼 소유 기관이 여러 곳으로 나뉘어 있어 통합 개발이 쉽지 않다.
현재 문체부는 산격청사 활용방안 용역을 진행 중이며, 대구시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