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1표제' 숨 고르기 의결 일주일 연기
당내 반발 여전해...회의서 고성 오가기도
與 지도부 '내란전담재판부' 재차 띄우며 내부결속 다지기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추진 중인 '1인 1표제'가 당내 반발로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당 내 의원들의 동상이몽이 이어지자 원내 지도부는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를 다시 꺼내들며 당내 분위기를 다잡으려 하는 모습이다.
민주당은 24일 오전 당무위원회를 열고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을 1대 1로 바꾸는 '1인 1표제' 당헌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1인 1표제'가 시행될 경우 20대1 미만인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이 동일해져 민주당 당원이 적은 영남과 강원 지역 등은 당 의사 결정에 대한 영향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다만 개정안의 중앙위원회 의결은 일주일 늦추기로 했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브리핑에서 "1인 1표제 도입 등 당헌·당규 개정에 대체로 동의가 됐으나, 일부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보완책을 더 논의하기 위해 중앙위원회를 28일에서 12월 5일로 연기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날 열린 당무위에서는 회의장 밖으로 고성이 들릴 정도로 '1인 1표제' 도입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앞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공개 발언에서 "1인 1표제에 대한 찬반 문제라기보다는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 취약 지역에 대한 전략적 문제가 과소대표되고 있는 점 등이 논란의 핵심"이라며 "충분한 숙의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식으로 폐지하는 게 맞느냐"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이 같은 의견을 받아들여 취약 지역에 대한 배려 조항 등을 당헌 개정안에 보완할 전망이나 당내 여론은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1인 1표제'가 권리당원의 지지를 받고 있는 정 대표의 연임을 위한 정책이라는 비판이 계속되는 탓이다. 정 대표는 직전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투표에서 밀렸으나 권리당원 투표에서 압승을 거둬 당권을 차지한 바 있다.
'1인 1표제'로 당내 갈등이 이어지자 지도부는 지난 9월 이후 언급이 없었던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를 다시 꺼내며 내부 결속에 나섰다. 당 내부에 쏠린 시선들을 외부로 돌릴 수 있는 데다, 내년 초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 기한 만료 이후 석방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지지층의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내란전담재판부는 당연히 설치해야 하는 국민의 명령"이라며 "대통령께서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면 차질 없이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내란사범이 시간이 조금 지나면 사면돼 거리를 활보하지 못하도록 내란사범에 대한 사면을 제한하는 법안도 적극 관철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