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심에서 고등학생을 태운 구급차가 소아과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해 결국 학생이 숨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18일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오전 6시 17분쯤 부산의 A고등학교 인근 도로에서 이 학교 재학생 B군이 쓰러져 있다는 신고를 받았다.
소방 당국은 신고 16분 만인 오전 6시 33분쯤 현장에 도착했다.
구급대는 병원 이송을 위해 B군을 구급차량에 태웠다. 당시 B군은 팔다리에 경련 증세를 보여 발버둥쳤는데, 이름을 부르면 반응할 정도의 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구급대는 병원 이송을 위해 부산의 대형병원들에 연락했는데 거절당했다. 이 중 대형 병원 4곳은 소아신경과와 관련 배후진료(응급치료 뒤 진료)가 어렵다며 환자를 받지 않았다고 한다.
구급대원은 결국 부산소방재난본부 산하의 구급상황관리센터 측에 이송할 수 있는 병원을 알아봐 달라고 요청했다.
해당 센터는 구급대원이 연락한 병원 3곳을 포함해 총 8곳에 연락을 했으나 이번에도 모두 거절당했다.
당시 센터는 부산에 있는 병원에서 치료가 이뤄지지 않자 경남 창원에 있는 병원까지 알아봤다.
구급차 안에서 약 1시간 가까운 시간이 흐른 끝에 학생은 결국 심정지 상태에 이르렀고, 오전 7시 30분쯤 가장 가까운 병원으로 향했다.
환자가 심정지 상태일 경우 근접 병원은 해당 환자를 수용해야만 한다.
구급차는 5분 만에 병원에 도착했지만, 학생은 끝내 숨졌다.
소방당국은 소아신경과 관련 배후 진료가 병원 현장에서 이뤄지지 않은 곳이 많아 응급실 이송이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