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청년들이 만든 '지역의 미래'… 로컬크리에이터 대회 개최

입력 2025-11-17 08:40:4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시, 대학 로컬크리에이터 경진대회 개최
지속가능한 도시–대학 상생 위해 지역 기반 창업 아이디어 발굴
9개 대학·18개 팀 참여… 본선 10팀 경쟁

대구시는 14~15일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지역 대학생들의 창의적인 로컬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대구시는 14~15일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지역 대학생들의 창의적인 로컬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대학 로컬크리에이터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열었다. 대구시 제공

대구 도시의 자원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본 청년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반야월 연근과 송이버섯까지 다양한 자원이 청년들의 아이디어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얻었다.

대구시는 14~15일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대학 로컬크리에이터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역 기반의 자연환경과 문화 자원을 소재로 창의성과 혁신을 통해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로컬크리에이터의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자리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경진대회는 '지속가능한 도시-대학 상생발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지역 고유의 특성과 자원을 활용한 창업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성장 가능한 단계까지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대회에는 지역 9개 대학이 참여했으며, 총 18개 팀 가운데 서류평가를 통과한 10개 팀이 본선 무대에서 경쟁을 벌였다. 참가 대학은 경북대, 계명대, 계명문화대, 대구공업대, 대구과학대, 대구보건대, 수성대, 영남이공대, 영진전문대 등이다.

첫째 날에는 로컬크리에이터 아이디어 캠프가 열렸다. 전문가 강연과 아이디어 고도화 멘토링을 통해 참가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사업화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둘째 날에는 본선 10개 팀의 최종 발표평가와 시상식이 진행됐다.

본선에서는 반야월 연근, 군위군 쌀, 대구수목원 등 지역 특산물과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제안이 쏟아졌다. 대상은 팔공산 송이버섯의 성분으로 핸드크림을 기획한 '이루다' 팀이 차지했다. 심사위원단은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실행력과 아이디어의 완성도를 높게 평가했다.

대구공업대 학생들로 구성된 '이루다' 팀은 "아이디어 캠프의 교육과 멘토링을 통해 아이디어를 실제 사업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향을 명확히 잡을 수 있었다"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대구의 자원과 이야기성을 담은 로컬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고 말했다.

이은아 대구시 대학정책국장은 "이번 경진대회를 통해 발굴된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앞으로 실제 창업으로 이어져 청년들이 대구에 머무르며, 지역 활력 회복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