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금지? 맞벌이 부부 어떡하라고"…워킹맘, 국민청원 호소

입력 2025-11-14 13:43:4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서울의 한 쿠팡 캠프에 주차된 배송차량 모습. 연합뉴스
서울의 한 쿠팡 캠프에 주차된 배송차량 모습. 연합뉴스

한 워킹맘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새벽배송 금지' 추진 방안에 반대하며 국회 청원에 나섰다. 그는 새벽배송이 단순한 편의가 아닌 맞벌이 가정의 삶을 지탱하는 필수 서비스라고 호소했다.

13일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글을 올린 이는 자신을 두 자녀를 키우는 워킹맘이라고 소개하며, "저녁 늦게 귀가하는 맞벌이 부모에게 새벽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가정의 행복과 건강, 육아와 교육을 지켜주는 삶의 기반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민들의 삶과 밀접하고 많은 일자리와 연결된 산업에 대한 규제는 많은 고려와 논의가 필요하다"며 "무작정 금지하는 것은 더 큰 불편과 사회적 갈등을 가져올 뿐"이라고 덧붙였다.

작성자는 청원을 통해 "국민들에게 필요한 게 무엇인지 더 나은 방법을 국회와 국토교통부에서 찾아주시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최근 소비자 커뮤니티 사이에서는 '새벽배송 금지' 논의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유통업계에서는 노동계의 새벽배송 제한 주장으로 인해 쿠팡, 컬리 등 주요 기업들이 부담을 겪는 반면, 새롭게 신선식품 배송 서비스를 시작한 알리익스프레스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앞서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은 지난달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유통·물류업계는 소비자 불편과 고용 감소 등을 이유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며 반발하고 있다.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가 기사 240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93%의 택배기사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소비자와함께·한국소비자단체연합이 최근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4%가 새벽배송 중단 시 불편을 느낄 것이라고 답했으며, 이용 경험자의 99%는 "앞으로도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했다.

학계 분석에서는 새벽배송이 금지될 경우 최대 54조 원에 달하는 사회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