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그룹, R&D 성과 공유 행사 'SIRF 2025' 개최…생분해성 필러 기술 주목

입력 2025-11-06 10:05:5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사진= 삼양그룹 제공
사진= 삼양그룹 제공

삼양그룹은 5일 경기도 판교 삼양디스커버리센터에서 '삼양 이노베이션 R&D 페어 2025'(SIRF 2025)를 열고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14회째를 맞은 SIRF는 한 해 동안 삼양그룹 산하 연구원들이 진행한 과제와 성과를 발표하고 전시하는 자리다. 각 부문별 우수 과제를 선정해 포상함으로써 연구개발 동기를 높이고 성과를 내부에 공유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 필러 개발' 과제가 최우수 과제로 선정됐다. 해당 기술은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인 PCL(Poly-caprolactone)에 다공성 미립구 구조를 적용해 필러의 효과 발현을 빠르게 하고, 뭉침과 같은 부작용을 줄이도록 설계됐다. 또한, 콜라겐 생성을 유도해 일정 기간 동안 효과가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삼양그룹은 이 기술을 바탕으로 의료 미용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수 과제로는 '상쾌환 부스터 및 부스터 제로 개발' 과제가 선정됐다. 숙취해소 제품의 맛과 향 개선 기술을 확보하고,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기능성을 검증한 점이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올해부터 시행 중인 숙취해소 실증제에 대응한 성과로 주목받았다.

이날 행사에서는 최우수·우수 과제 외에도 삼양그룹 7개 연구소가 △친환경 모빌리티 소재 △재활용 플라스틱 기술 △유전자 전달체 개발 등 총 9개 테마의 연구 과제를 전시했다. 전시를 통해 부문 간 연구개발 전략과 방향성을 공유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김윤 회장은 격려사를 통해 "올해는 창립 101주년으로, 새로운 100년의 시작점에 서 있다"며 "이 시점에서 R&D 역량을 바탕으로 탄탄한 기술 기반을 마련해야 삼양의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AI 기술이 급성장하면서 가장 큰 변화의 압박을 받는 집단은 고도의 지식을 가진 연구인력일 수 있다"며 "AI를 활용하는 방식을 넘어,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끊임없이 고민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마지막으로 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실천 과제로 △차별화된 기술 확보 △AI 기반 기술 융복합 △기업소명 체계와 연계한 변화 추진 등을 제시하며 연구진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