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지속 가능한 글로벌 에너지 생태계 구축의 핵심"

입력 2025-10-31 15:57:59 수정 2025-10-31 20:16:51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조석진 한수원 부회장 CEO 서밋서 'AI시대 에너지 해법' 제시

조석진 한국수력원자력 기술부사장이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Summit)에서
조석진 한국수력원자력 기술부사장이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Summit)에서 'AI시대 에너지 수요 증가와 지속가능 미래 차세대 원자력의 역할'를 주제로 발언하고 있다. APEC공동취재단 제공

"지속 가능한 글로벌 에너지 생태계 구축의 핵심은 원자력입니다."

조석진 한국수력원자력 기술부사장(CNO·최고원자력책임자)은 31일 경주 예술의전당 화랑홀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AI시대 에너지 수요 증가와 지속가능 미래 차세대 원자력의 역할' 세션에서 한국의 원전 기술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비전을 제시했다.

조 부사장은 인공지능(AI) 시대 폭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데 원자력 발전이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데이터센터의 확산, 신흥국의 산업화로 인해 글로벌 전력 수요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동시에 탄소중립을 위한 움직임도 가속화되는 추세"라며 "청정 에너지이자 풍부하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원자력이 주목받는 이유"라고 했다.

이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대형 원자로 진화 ▷소형모듈원자로(SMR) ▷신뢰할 수 있는 공급망 등을 세가지 축으로 소개했다.

이에 대해 조 부사장은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 기술 혁신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향후 SMR은 산업현장과 지역 사회 수요를 충족하는 설루션이 될 것"이라며 "차세대 원자로 개발이 진행되는 만큼 이와 연계한 공급망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현재 한수원은 글로벌 기업과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조 부사장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은 물론, 생산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가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 참석한 각국의 주요 기업 관계자들도 원전 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동시에 한국 기업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장뤽 팔레이어 오라노USA 최고경영자(CEO)는 "장기 발전을 위해 원료 공급을 안정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캐나다, 중앙아시아를 비롯해 새로운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수력원자력은 최고의 파트너"라며 "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를 진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크리스토퍼 레베스크 테라파워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기업으로, 차세대 원전 개발 최전선에 있다.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가장 안전한 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며 "새로운 발전소를 건립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주요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좌장을 맡은 마리아 코르스닉 미국 원자력에너지협회(NEI) 회장은 "이미 세계는 급변하고 있다. 선제적으로 에너지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국가 차원에서도 에너지 자립을 통한 경제안보 확립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