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스타게이트, AI 생태계 확장 기폭제"… 하정우 "한국, 아시아 AI 수도로 도약"

입력 2025-10-28 16:45:49 수정 2025-10-28 16:47:03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APEC 퓨처테크포럼서 민관 AI 비전 제시
글로벌 협력·국가 전략 모두 '테스트베드 코리아' 강조

28일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28일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APEC 공동취재단 제공

28일 경주엑스포대공원 문화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퓨처테크 포럼: AI'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잇따라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의 AI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오픈AI와 함께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 협력이 인공지능(AI) 생태계 확장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AI 경쟁은 규모와 속도의 전쟁으로, 글로벌 플레이어 간 협력이 필수"라고 밝혔다. 그는 "AI가 기업 경쟁을 넘어 국가의 성장 엔진이자 안보 자산으로 부상했다"며 "대한민국은 특유의 적응력으로 보틀넥(병목)을 해소하는 세계적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스타게이트'는 오픈AI·소프트뱅크·오라클이 5년간 5천억달러(약 700조원)를 투입해 미국 전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최근 SK와 삼성도 각각 포항과 전남에 '한국판 스타게이트' 건립을 추진하면서 글로벌 AI 협력의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최 회장은 "대한민국은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협력해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며 "비록 빅테크에 비해 모델 규모가 작더라도 효율성을 극대화하면 다른 나라의 모범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은 "대한민국이 AI 강국을 넘어 아시아의 AI 수도로 성장하도록 민관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내 AI 역량은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에너지 인프라 확충에 글로벌 자본이 결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 수석은 다음 달 공개 예정인 'AI 액션 플랜'을 예고하며 ▷민관 협력 생태계 구축 ▷범국가 AI 기반 개정 ▷글로벌 AI 사회 기여를 3대 축으로 제시했다. 그는 "제조·바이오 특화 AI를 비롯해 AGI(일반인공지능), 반도체, 국방·문화 AI 등 미래 기술 투자도 확대할 것"이라며 "사람 중심의 포용적 AI를 통해 모두가 혜택을 누리는 기본 사회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