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생가터' 복원, 국가기념 관광지화 보도
일부 언론·유투브 통해 사실과 다른 내용 확산돼 곤혹
'관광지 개발' 아닌, '방문객 안전 확보·마을 환경개선'
안동시가 '이재명 대통령 생가터'를 역사·문화적으로 복원해 국가 기념 장소로 관광지화 하기 위해 수억원의 세금을 투입하고, 이를 위해 용역까지 진행했다는 논란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이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이 안동시로부터 제출받은 '이재명 대통령 생가터' 관련 국정감사 자료가 언론을 통해 알려지고, 이를 일부 유투브 채널이 만든 콘텐츠 영상이 확산되고 있는 것.
언론과 유투브 영상에서는 '세금 수억원을 들였다', '콘텐츠 용역을 체결했다', '대통령실에 보고했다'는 등 일부 악의적 내용까지 포함되자, 안동시가 생가 복원 아닌 '환경·안전 개선 목적'의 사업, 콘텐츠 용역도 심의 전 단계라는 해명을 내 놓고 있다.
안동시에 따르면, 예안면 도촌리 지통마을 일대 생가터는 현재 주택 흔적조차 남지 않은 밭이며, 인근 주민 6가구 10여 명이 거주하는 벽지 지역이다.
하지만 지난 대선 이후 방문객이 급증하면서 안동시는 "주차 공간 부족, 위생 문제, 안전사고 위험 등이 발생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최소한의 환경정비 사업을 시행했다"는 설명이다.
안동시는 이 사업을 위해 농지를 임차해 주차장을 조성하고, 위생과 안전을 위한 화장실과 방범용 CCTV 설치 등 환경개선에 약 1억6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이 과정에서 언론이 주장한 '3억3700만원 예산 투입'은 사실이 아니라는 것.
특히, 보도에 언급된 '콘텐츠 기획 용역계약'은 아직 행정 절차인 용역심의조차 진행되지 않은 계획 단계로, 실제 예산 집행이 이뤄진 바 없다고 밝혔다.
또, 일부 언론의 '세천 정비 사업'이 생가터 개발 사업에 포함된 것처럼 보도된 부분도 사실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세천 정비는 안동시 전역의 마을 및 하천 정비사업 중 하나로, 대통령 생가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며 "특정 장소를 위해 진행된 사업으로 호도하는 것은 명백한 왜곡"이라고 말했다.
안동시는 이번 사업의 본질이 '관광지 개발'이 아니라 '방문객 안전 확보 및 마을 환경개선'이라고 강조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대통령 생가터를 복원하거나 관광지로 조성하는 계획은 없다"며 "예상치 못한 방문객 증가로 인한 주민 불편을 줄이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 고향 마을 주민들은 "마을 출신 이재명 대통령의 흔적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행정기관으로서 주차장, 화장실 등 방문객들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편의시설 설치는 당연한 의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