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서 고수익 해외 취업 등을 미끼로 한국인을 겨냥한 납치와 실종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국경을 맞댄 베트남 지역에서도 한국인 여성의 사망 사례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서울 혜화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7일 베트남 남부 국경 지역에서 30대 한국인 여성이 숨진 채 발견됐다. 베트남 경찰은 여성의 정확한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한 수사에 착수했으며, 현지 부검 절차를 거친 뒤 시신은 유족에게 인도됐다.
외교당국은 베트남 수사 당국과 공조해 구체적인 사건 경위를 확인하고 있다. 한국 경찰 역시 유족으로부터 신고를 접수한 이후 보이스피싱 범죄조직 간의 연관성을 들여다보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올 들어 취업을 빌미로 캄보디아로 유인돼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된 사례 중 사망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은 지난 8월 한 20대 대학생이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출국한 뒤 현지 범죄단체에 감금·고문당해 숨진 사건이 유일하다.
하지만 실종 상태이거나 소재가 확인되지 않은 사례는 그 수가 적지 않다. 외교부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현재까지 캄보디아 내에서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한국인은 약 80명에 이른다. 이 수치는 외교부에 직접 신고된 사례만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경찰청 등의 통계와 중복될 수 있어 관계 당국은 교차 검증을 통해 실태를 파악 중이다.
외교부는 "이들 중 일부는 실제 감금이나 납치 피해자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자발적으로 온라인 범죄조직에 가담한 뒤 의도적으로 연락을 끊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캄보디아에 입국했다가 연락이 두절되거나 감금됐다는 신고가 올해 1∼8월 동안 330건 접수됐고, 지난해에는 220건이었다"고 밝혔다. 이 중 올해 260여 건, 지난해 210건은 사건 종결로 처리됐다. 종결된 건은 현지 경찰에 의해 체포·구조되거나 추방된 경우, 스스로 탈출 또는 귀국했거나 연락이 재개된 사례 등을 포함한다.
국가정보원은 범죄단지 내 한국인이 1천명 이상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들이 모두 범죄에 연루됐는지 여부는 명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현지 상황의 심각성을 감안해 16일 0시를 기점으로 캄보디아 일부 지역에 대해 여행경보 4단계인 '여행금지' 조치를 발령했다. 외교부가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한 곳으로 캄폿주 보코산 일대, 스바이리엥주 바벳시, 반테이메안체이주 포이펫시 등 3곳이다.
보코산은 지난 8월 한국인 1명이 숨진 채 발견된 지역이며, 바벳시와 포이펫시는 범죄 조직의 활동이 활발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외교부는 여행금지 발령에 따라 해당 지역에 방문·체류하는 경우 여권법 등 관련 규정에 의거해 처벌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범죄단체 밀집지역인 시하누크빌주에는 3단계 '출국권고'가 발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