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국회 사랑재에서 '국회 사회적 대화 공동 선언식'
국회 주도, 노동·경제계 5단체 참여
"갈등과 대립 넘어 상생과 협력의 정신으로"
국회가 중심이 되고 노사가 함께하는 '국회 사회적 대화 기구'가 15일 공식 출범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국회 사회적 대화 공동 선언식'에서 "국회와 노동, 경제계가 의기투합해서 우리 사회의 여러 갈등과 도전을 대화와 토론으로 해결하는 틀을 만든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사회적 대화가 국회와 현장을 연결하고 위기 극복에 역량을 쏟을 수 있게 유도하는 물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구엔 노동계에서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경영계에선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등 5개 단체가 참여한다.
특히 민주노총은 26년 만에 사회적 대화에 복귀하기로 지난달 결정한 바 있다.
이날 행사에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혁신을 가로막는 계단식 규제와 낡은 제도를 걷어내고 인공지능(AI) 전환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며 "노사가 밥솥을 깨뜨리지 않고 밥을 더 많이 지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말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결과에 집착하기보다 구동존이(求同存異·공통점을 찾되 차이는 인정)의 자세로 차이를 좁히는 과정 자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고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더는 사회적 대화의 결과가 정권에 따라 필요하거나 합의가 무용지물이 되는 과오를 반복해선 안 된다"고 했다.
한편, 선언식에 참석한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 자리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포용과 통합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사회적 대화만 하지 말고 정치적 대화도 잘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