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9만3000명 감소
고용률도 1년간 계속 하락
국내 20대 인구가 역사상 처음으로 70세 이상 노령층보다 적어졌다. 20대가 성인 연령대 중 가장 인구가 적은 세대가 된 것이다.
12일 국가데이터처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지난해 20대(20~29세) 인구는 630만2천명으로 전년보다 19만3천명 줄었다. 이 감소 폭은 모든 연령대 중 가장 컸다.
20대 인구는 2020년 703만명으로 정점을 찍고서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20대 인구(630만2천명)는 70세 이상(654만3천명)보다 적어졌다. 20대 인구가 70세 이상을 밑돈 것은 1925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이다.
이런 영향으로 20대는 사상 처음으로 성인 연령대 중 인구가 가장 적은 '마이너' 세대가 됐다. 30여년 전 20대 인구가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았던 점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지난해 인구를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871만3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780만9천명), 60대(779만1천명) 등 순이었다. 10세 미만도 19만2천명 줄었고, 40대는 16만9천명 감소했다.
20대는 노동시장에서도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지난 8월 20대 고용률은 60.5%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1.2%포인트(p) 하락했다. 지난해 8월(61.7%) 이후 12개월째 하락·보합을 반복하면서 단 한 번도 반등하지 못했다.
같은 달 20대 실업률은 5.0%를 기록하며 지난해 8월보다 1.0%p 상승했다. 같은 달 기준으로 2022년(5.4%)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대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현상으로 공채보다는 수시 채용이 늘면서 막 사회에 진출한 20대의 설 자리가 부족해진 탓이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신입직원 28.1%는 경력직이었다. 이는 전년(25.8%)보다 2.3%p 상승한 수치다. 사회 전반에서 20대의 존재감이 약해지면서 한국 경제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