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첫 투자처로 포항 선택한 OpenAI, 뒤에 포스코 있었다

입력 2025-10-12 16:54:24 수정 2025-10-12 18:45:2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포스코 창립자 고(故) 박태준 명예회장 장남 포항 유치 적극 추진
풍부한 철강제조 데이터+포스텍 등 연구 인프라 큰 영향 끼쳐

OpenAI.삼성 AI데이터센터 조감도
OpenAI.삼성 AI데이터센터 조감도

'ChatGPT'로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OpenAI'가 한국 첫 투자처로 경북 포항시를 선택(매일신문 10월 2일 등 보도)하는 과정에서 포항제철 설립자인 고(故) 박태준 명예회장 일가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OpenAI 측은 지난 1일 경북 포항시에 AI데이터센터 설립 계획을 최종 확정지었다. 삼성 계열 전산업체인 삼성SDS는 OpenAI와 협력해 데이터센터 구축에 파트너로 나선다.

◆박태준 회장 아들, 유치에 숨은 역할

데이터센터는 1단계 사업으로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펜타시티) 내 4만3천㎡ 부지에 20~40MW급 규모로 건설된다. 오는 11~12월 착공해 2026년 12월 준공, 2027년 1월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포항의 데이터센터 구축은 지난 6월부터 본격 추진됐다. 지난 6월 26일 경북도·포항시는 미국에 본사를 둔 트랜스링크캐피탈·텐서웨이브코리아를 비롯해 NHN클라우드·현대건설·포스텍·한동대·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등과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AI 인프라 전문기업인 텐서웨이브코리아가 사업 주체를 담당하며, 자금은 펀드기업인 트랜스링크캐피탈이 맡는다.

바로 트랜스링크캐피탈에 고 박태준 명예회장의 장남인 성빈 씨가 공동창업자 겸 대표이사(Co-Founder and Managing Director)로 참여하고 있다.

고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장남인 박성빈 트랜스링크캐피탈 공동창업자 겸 대표이사(Co-Founder and Managing Director). 홈페이지 캡처
고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장남인 박성빈 트랜스링크캐피탈 공동창업자 겸 대표이사(Co-Founder and Managing Director). 홈페이지 캡처

OpenAI는 애초 산업현장 및 연구개발 등 특수목적에 적합한 AI 신모델 개발을 위한 데이터센터 건립을 구상하고 있었다. 이를 파악한 박성빈 트랜스링크캐피탈 대표이사가 한국, 그것도 경북 포항을 적극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버지가 포항제철을 설립하면서 포항과 깊은 인연을 맺은 데 이어 아들이 최첨단 사업 유치에 힘을 보태면서 포항과 인연을 이어가는 셈이다.

지난달 10일 OpenAI가 싱가포르·일본에 이어 전 세계 12번째, 아시아 3번째로 한국 지사 'OpenAI 코리아'의 공식적인 출범을 선언했을 때 이미 포항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이 어느 정도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OpenAI의 신모델 개발에는 많은 제조현장 데이터와 연구개발시설 연계가 필요하다.

이미 1968년 포스코(당시 포항제철) 창립 이후 약 57년간 축적된 방대한 철강제조 데이터와 포스텍·방사광가속기·애플 디벨로퍼 아카데미 등 풍부한 연구·인재양성 기반 등이 강점으로 작용한 셈이다.

아울러 포스코와 에코프로 등 대규모 연산 자원을 필요로 하는 산업 기반이 이미 조성돼 있어 데이터센터 가동과 동시에 즉각적인 산업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도 주목을 끌었다.

◆풍부한 전력 공급 가능

경북 지역에서는 구미가 초반 후보지로 거론된 적이 있지만, 탄탄한 전력공급 기반에서 포항이 조금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AI 산업 특성상 안정적이면서 막대한 양의 전력 공급이 필수인 까닭에 경주·울진 등 원자력발전소 인근 지역이라는 프리미엄이 작용했다는 뜻이다.

포항시에 따르면 OpenAI는 20~40MW급 데이터센터 설립에 장기적으로 최대 200MW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현재 펜타시티는 120MW의 전력을 즉시 공급할 수 있으며, 2028년 동포항변전소가 완공되면 추가 증설 수요에도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

이번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인한 포항에 직접적인 경제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건설, 전기, 기계, 통신 등 분야에서 지역 업체 발주가 늘어나며, 상시 운영 인력과 협력사 상주 인력 등 대규모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특히 철강·2차전지·바이오·수소 산업 등 지역 핵심 산업군이 데이터와 AI 분석, 고성능 컴퓨팅(HPC)을 결합하며 '포항형 스마트팩토리 벨트'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한편, 포항시는 이번 데이터센터 설립을 위해 부시장을 단장으로 'AI데이터센터 인허가 패스트트랙 지원 TF팀'을 구성해 총 21명의 전담인력이 인허가 절차와 지역 수용성 확보, 행정·제도적 지원 전반을 담당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