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개인화' 화두로 던진 핀테크 위크
뱅크샐러드, '실행형 AI 에이전트'로 금융 비서의 진화 보여
네이버·카카오페이도 오프라인·여행 특화 서비스로 맞불
단순한 송금이나 결제의 편의성을 넘어 인공지능(AI)이 개인의 취향과 소비 패턴을 분석해 금융 생활 전반을 설계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지난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막한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의 핵심 화두는 단연 'AI를 통한 금융의 초개인화(Hyper-personalization)'였다.
금융위원회 주최로 28일까지 사흘간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핀테크×AI, 금융에 취향을 더하다'라는 주제 아래 역대 최대 규모인 128개 기업·기관이 참여했다.
현장에서는 빅테크와 핀테크 기업들이 저마다의 AI 기술을 뽐냈지만, 관람객과 업계의 시선은 단순한 '추천'을 넘어 실질적인 '해결'을 제시하는 기술에 쏠렸다.
먼저 뱅크샐러드는 이번 행사에서 '금융 AI 에이전트'를 전면에 내세우며, 기존의 자산 관리 서비스가 가진 한계를 뛰어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뱅크샐러드가 선보인 AI 에이전트의 핵심은 '자율주행형 금융'이다. 기존 핀테크 서비스가 소비자가 혜택을 직접 찾아서 신청해야 하는 조회 중심이었다면, 뱅크샐러드의 AI는 문제 해결의 실행 단계까지 대신 수행한다.
김태훈 뱅크샐러드 대표는 행사 첫날 부스를 찾은 이억원 금융위원장에게 '토핑+' 서비스를 시연하며 보험, 소비, 소상공인 등 각 영역에서 AI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증명했다.
먼저 뱅크샐러드 보험 AI 에이전트는 고객의 약관과 보장 내역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복잡한 보험금 청구 서류 제출까지 자동화했다. 소비 영역에서는 플랫폼별 최저가를 찾아내는 것은 물론, 결제 시점에 적용 가능한 쿠폰과 카드 혜택을 자동으로 적용해 지출을 최소화한다.
특히 소상공인 AI 에이전트는 '사업 비서' 역할을 자처했다. 매출과 대출 정보를 분석해 금리인하요구권을 대신 행사하거나, 더 유리한 조건의 대출로 갈아타는 대환대출까지 제안하고 실행을 돕는다.
뱅크샐러드는 이번 시연을 통해 금융 정보의 비대칭성을 기술로 해소하겠다는 뱅크샐러드의 초기 철학이 생성형 AI와 결합해 완성형 서비스로 진화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빅테크 양대 산맥인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역시 AI와 결합한 라이프스타일 금융을 선보이며 관람객의 발길을 잡았다.
네이버페이는 오프라인 통합 단말기 'Npay 커넥트'를 공개하며 온라인의 경험을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식하는 데 주력했다. '페이스사인(안면인식 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오프라인 매장 결제 후 즉시 리뷰를 남기거나 쿠폰을 다운로드하는 등 온·오프라인 단절을 없앴다.
내년부터는 이를 기반으로 한 고객관리(CRM) 기능까지 제공해 소상공인 생태계를 장악하겠다는 포석이다.
카카오페이는 생성형 AI 브랜드 '페이아이'를 통해 초개인화에 집중했다. 'AI로 내 건강 관리하기'와 'AI로 나만의 혜택 찾기' 서비스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와 결제 패턴을 분석해 최적의 보험과 카드를 추천한다.
또한 '해외여행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환전, 결제, 세금 환급까지 하나의 앱에서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각 핀테크 기업들의 기술 등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앞으로는 AI 활용 능력이 금융 경쟁력의 절대적 척도가 될 것"이라며 "단순히 기술을 더하는 것을 넘어 금융이 개인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금융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