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의 일자리 줄고 물가는 치솟고…20대 실질소득 증가 '꼴찌'

입력 2025-09-29 16:39:5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한경협 2014~2024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결과

19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19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소상공인+5070일자리박람회 & 소상공인EXPO'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10년간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4부터 2024년까지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 이어 40대(2.1%), 50대(2.2%), 30대(3.1%), 60대 이상(5.2%) 순으로 낮았다.

20대는 실질소득 증가세도 둔화되는 추세다. 앞서 과거 5년(2014∼2019년)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2.6%였지만 최근 5년(2019∼2024년)은 연 1.1%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이 청년층 고용의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최근 10년간 20대의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모든 세대 중 가장 낮았다. 근로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 비율이 11.1%p 늘어 고용의 질이 떨어진 것이 청년층 실질소득의 낮은 증가율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가파른 음식·숙박비 상승도 20대 체감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2019∼2024년 '음식·숙박'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연 4.0% 올랐는데 이는 소비지출 항목 중 '식료품·비주류음료'(5.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 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고용훈련, 양질의 고용 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