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전담 사무관 지정해 기재부와 협의 진행
내년 초 확정 목표…4조5천억원 규모 2028년 착공
영호남 화합의 상징이자, 30년 숙원사업인 달빛내륙철도(이하 달빛철도) 건설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토교통부가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 확정을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면서 이 사업이 '이재명 정부 1호 예타 면제 대상'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18일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달 철도국 철도건설과에 달빛내륙철도 전담 사무관이 지정됐다. 이는 이재명 정부가 국정과제로 제시한 '달빛철도 조속 추진'에 발맞춘 조치로,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통해 늦어도 내년 초까지 예타 면제를 확정하겠다는 목표다.
달빛철도 사업은 대구∼광주 약 200㎞ 구간을 1시간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동서 횡단 철도망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전체 길이 198.8㎞ 노선으로, 서대구역에서 출발해 경북 고령과 경남 합천·거창·함양, 전북 장수·남원·순창, 전남 담양을 거쳐 광주 송정역까지 6개 광역시·도와 10개 시·군을 거친다. '달구벌' 대구와 '빛고을' 광주의 첫 글자를 따 이름 지었다.
최소 4조5천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경제성 부족으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국회는 지난해 1월 예타 면제 특별법을 의결했고, 같은 해 9월 국토부가 기재부에 예타 면제 요구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대선 정국으로 추진이 지연되면서 이렇다 할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애초 목표한 2030년 개통이 불투명해지자 정치권도 정부 설득에 나섰다. 앞선 17일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등 영호남 시·도지사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달빛철도 예타 면제를 촉구하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하며 정부에 빠른 추진을 요청했다.
달빛철도가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영호남 화합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만큼 정치적 상징성과 지역 민심을 고려한 정부의 결단을 요구한 것이다.
국토부는 예타 면제 확정 후 총사업비 책정을 위한 적정성 검토를 거쳐 내년 중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등의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기본계획이 완성되면 설계를 거쳐 착공하게 된다.
기재부 관계자는 "5조원에 가까운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라 짚어볼 부분이 있어 국토부와 계속해서 협의 진행 중"이라고 했다.
국토부 관계자도 "철도 분야 특별법 사례이기 때문에 기재부가 신중하게 사업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기재부의 적정성 검토 후 기본계획 수립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금은 예타 면제를 확정하는 게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