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 옥죄자…집합건물 생애최초 매수 비중 증가하며 역대 최대 기록

입력 2025-09-14 16:57:4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서울 송파구 한 상가의 부동산 모습. 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한 상가의 부동산 모습. 연합뉴스

올해 들어 매매한 전국 아파트 등 집합 건물 중 생애 최초 매수자 거래 비중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핵 정국을 시작으로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 시장 변수가 커지자 정책 자금 대출 지원이 상대적으로 많은 생애최초 구매자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강해진 것으로 보인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서 공개한 아파트·연립·오피스텔 등 집합건물 소유권 매매 이전 등기 통계를 살펴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등기를 완료한 전국 집합건물 65만9천728건 중 생애 최초 매수 건수는 28만4천698건(43.2%)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42.5%를 초과한 수치로 대법원은 관련 통계를 공개한지 2010년 이후 1~8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비중이다.

생애최초 거래 비중이 늘어난 것은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금, 신혼부부·신생아 대출 등 저리의 정부 정책 자금 대출 혜택이 많고 1주택 이상 유주택자들과는 다르게 시중은행 주택 담보대출 제한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또 금리가 오르고 전세사기가 증가하면서 연립·다세대나 오피스텔 등의 투자수요가 감소한 것도 상대적으로 생애최초 구매자 증가로 이어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올해 1~8월 서울 지역 생애최초 매수 비중은 38%대로 지난 2014년 동기간(38.8% 이후 11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거래 건수로는 4년 만에 가장 많았다. 이 기간 생애최초 집합건물 소유권 이전 등기 건수는 28만4천698건에 달한다. 이는 집값 상승세가 최고조에 달했던 2021년(36만1천750건) 이후 가장 많았다.

전국의 등기 건수(65만9천728건)도 2021년(104만459건) 이후 가장 많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R114 윤지해 리서치랩장은 "금융당국의 유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가 강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리의 정책자금 대출에서 유리한 생애최초 구매자들의 매수 비중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향후 보유세 등 다주택자의 세부담이 늘어나면 상대적으로 생초자와의 구매 비중 격차는 더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