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유통비용 49.2%…소비자 가격의 절반

입력 2025-09-14 11:39:41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배추·무 64.3%로 가장 높아
10년새 4.2%p↑…정부 대책 마련

통계청이 2일 발표한
통계청이 2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농산물은 작년보다 2.7% 오르고 축산물은 7.1% 올랐다. 계란은 소비 증가 및 산지가격 인상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이날 서울 한 대형마트 계란 매장 모습. 연합뉴스

배추나 무 등 농산물 생산비는 높지 않지만 소비자 가격이 비싼 이유가 과도한 유통비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농산물은 유통비용이 70%를 넘어서고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평균 농산물 유통비용률은 49.2%로 집계됐다. 10년 전인 2013년(45.0%)보다 4.2%포인트(p) 높다. 소비자 가격이 1만원이라면 유통업체가 4천920원을 가져가는 셈이다.

유통비용률 상승폭은 최근 들어 더 커지는 추세다. 1999년(38.7%)과 비교하면 10%p나 올랐다.

품목별로는 유통비용률 편차가 심했다. 쌀 등 식량작물은 35.9%에 그쳤지만 양파·대파 등 조미채소류는 60.8%, 배추·무(엽근채소류)는 64.3%에 달했다. 과일류·과채류·축산물은 평균 50% 수준이었다.

월동 무(78.1%)와 양파(72.4%), 고구마(70.4%) 등은 70%를 넘었다. 이들 품목은 신선도가 중요해 유통 기간이 짧아 유통비용률이 다른 작물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농산물 공급 과정에서 유통비용이 높아진 것은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도 있지만 유통 이윤 자체가 늘어나는 점에 주목한다고 했다. 직접비와 간접비를 제외한 이윤율은 2023년 14.6%로 10년 전보다 1.2%p 높았다.

하지만 농산물 유통에는 세금이 매겨지지 않아 이윤이 얼마인지 정확한 집계가 힘든 실정이다. '고무줄 가격'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는 결국 농산물 생산 농가의 수익은 낮지만 도매·소매업체는 많은 이익을 챙겨 상호 격차가 더 벌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도 최근 식료품 물가가 높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소비자와 생산자가 모두 체감할 수 있도록 불합리한 유통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달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우선 농산물 유통구조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한다.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규모를 늘려 유통 단계를 축소해 비용을 낮추겠다는 취지다. 또 도매시장에서 경매 외에 정가·수의매매를 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기로 했다. 생산과 가격 관련 정보 제공을 확대해 가격 투명성을 높이는 것도 대책에 포함됐다.

현재 농식품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농식품 수급·유통구조 개혁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