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9일 민관 합동 조사단 구성하고 조사 착수
KT 이용자들 소액결제 피해 관련 해킹 여부 중점 파악
정부가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어진 무단 소액결제 피해 조사에 착수했다. 지난 4월 SKT 해킹 사태가 터진 지 5개월 만에 KT에서 사이버 침해 사고가 발생하면서 이동통신 이용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9일 KT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사건 조사를 위해 민관 합동 조사단을 구성하고 원인 파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지난 8일 오후 KT로부터 사이버 침해 사고 신고를 접수했다.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해킹 등 침해 사고가 발생한 것을 알게 된 때로부터 24시간 이내에 사고 발생 일시, 원인, 피해 내용 등을 과기정통부나 KISA에 신고해야 한다.
조사단은 최근 경기 광명시, 서울 금천구 등을 중심으로 KT 이용자가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본 사건에 대해 사이버 침해 행위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정부는 조사단 운영과 더불어 정보보호 분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단을 구성하고 사고 관련 기술적·정책적 자문을 받기로 했다.
이 사건을 병합 수사 중인 경기남부경찰청도 사건 실체 파악에 협조한다. 경찰은 지난달 말부터 최근까지 주로 새벽 시간대 특정 지역의 KT 이용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모바일 상품권 구매 등이 이뤄지며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를 봤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사건을 병합해 수사 중이다.
KT는 개인정보 해킹 정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입장이다. KT는 지난 5일 새벽부터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했고 현재까지 추가적인 발생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KT 관계자는 "소액결제 피해 고객에게 금전적 피해가 가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