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대출 여파로 기업들의 상호금융권의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
4일 금융당국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새마을금고의 PF 등 기업대출 연체율은 12.97%이다 .이는 전년 말보다 2.56%포인트(p) 오른 수치다.
상승세는 지난 2023년 말 7.74%부터 1년 만에 2.67%p 오르며 지난해 10.41%를 기록한 뒤 꺾지 않고 있다.
신협과 농·수협, 산림조합 등 다른 상호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도 지난 6월 말 기준 8.48%를 기록했다. 전년 말(6.75%)보다 1.73%p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전체 연체율도 악화하고 있다.
6월 말 새마을금고 대출 연체율은 8.37%다. 이는 2005년 6월 말(8.87%) 이후 20년 만에 최고치다.
신협도 연체율이 8.35%에 달한다. 지난해 말(6.03%) 대비 2.32%p 뛰며 2009년 6월 말(8.3%)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농협은 4.7%, 수협은 7.82%로 각각 지난해 말 대비 0.82%p와 1.08%p 상승했다.
저축은행 대비 뒤늦게 PF 사업에 뛰어든 탓에 상호금융권은 악성 대출을 대거 떠안은 모양새다. 특히 상호금융권 위기가 부각되면서 관리·감독 체계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상호금융권의 담당 부처는 농림축산식품부(농협), 행정안전부(새마을금고), 해양수산부(수협) 등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2일 국무회의에서 "새마을금고가 관리·감독 사각지대"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