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3일 中 전승절 열병식 참석…3자 첫 만남
김정은 다자외교 데뷔전, 6년 만 中 방문
北, 러시아 동맹에 이어 북중 관계 복원 필요
한·미·일 동맹에 맞선 북·중·러 동맹 구도가 선명해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과 미국을 차례로 순방해 동맹 외교를 끝내자마자, 다음 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승전 80주년 기념식에 북·중·러 정상이 만난다. 북·중·러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탈냉전 이후 처음이다. 향후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정세 변화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28일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80주년) 기념활동' 준비 상황 브리핑에서 "시진핑 주석의 초청으로 26명의 외국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뇌가 기념 활동에 참석한다"고 발표했다. 참석자 명단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푸틴 러시아 대통령, 우원식 한국 국회의장 등이 포함됐다.
북·중·러 세 정상들이 함께 만나는 것도 역사상 처음인데다, 시점도 묘하다. 중국은 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 일정을 끝낸 이후 곧바로 전승절 열병식에 북러 정상의 참석을 공개함으로써, 한미일 동맹의 강화 흐름에 북·중·러 협력으로 맞불을 놓는 모양새를 연출하고 있다.
사실 그동안 중국과 북한의 관계는 소원했다. 중국은 대북제재라는 국제적 규범을 준수하려는 모습을 보이면서 북한과 경제, 사회 교류를 최소한으로만 이어왔다. 대신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전투병 파병과 북러 군사조약 체결 등을 통해 러시아와 동맹관계를 더욱 강화했다.
이번 방중은 김정은 위원장의 다자 무대 데뷔전이자, 6년 만에 다시 중국을 다섯 번째로 찾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도널드 트럼프 1기' 시절 남북·북미 대화 국면이던 2018년 세 차례, 2019년에 한 차례 등 모두 네 차례나 있었다.
북한은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에 대해 '우리 중심 외교'라 선언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은 28일 북한 외무성 간부들과의 회의 석상에서 "한국에는 우리 국가를 중심으로 전개도는 지역외교 무대에서 잡역조차 차례지지 않을 것(의미없는 존재)"이라고 경고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부소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도 북'러간 협력 분위기는 계속 유지되겠지만, 북한으로서는 지금까지의 '특수'가 사라지게 될 것이기 때문에 북'중 관계의 복원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올해 10월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행사에도 중국의 원조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송언석 "'文 혼밥외교' 뛰어넘는 홀대…한미정상회담, 역대급 참사"
장동혁 "尹면회 약속 지킬 것"…"당 분열 몰고 가는분들엔 결단 필요"
정청래 "국힘, 정상회담 평가절하 이해 안돼…나라 망치라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