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 열차 사고…작업자 명단 불일치 드러나

입력 2025-08-21 16:52:02 수정 2025-08-21 20:20:27

경북도 "공식 명칭은 '무궁화호 열차 사고'로 통일해야"

20일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 사고 현장에서 경북경찰청, 국과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등 관계자들이 합동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전날 이곳 선로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7명이 무궁화호 열차에 치여 2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20일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 사고 현장에서 경북경찰청, 국과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등 관계자들이 합동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전날 이곳 선로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7명이 무궁화호 열차에 치여 2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경북 청도 무궁화 열차 사고와 관련, 당일 작업자 중 2명은 작업계획서 내 과업 참여자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경찰 수사를 통해 서류상 작업자와 실제 현장 투입 인원이 다른 원인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경찰 등 수사당국에 따르면 작업계획 서류에 나오는 열차 감시 업무자 A씨와 참여기술자 B씨 등은 사고 당일 음주 여부와 질병 유무, 피로 정도, 수면 시간을 확인하는 적합성 검사와 보호구 착용 여부를 검사받은 뒤 작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사고 이후 경찰·소방당국 등이 확인된 사상자 명단에는 이들 대신 다른 작업자 2명이 이름을 올렸다. 실제 작업 투입 인원 가운데 일부는 안전 교육을 제대로 이수하지 않은 상황에서 현장에 투입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셈이다.

이에 경찰은 해당 하청업체로부터 작업계획서를 입수해, 사고 원인과 과실 여부를 조사 중이다.

경찰은 또 사고 당시 열차 접근 '경보 장치'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코레일로부터 관련 로그인 기록도 확보했다. 이날 오전 코레일 본사로부터 열차 접근 경보 장치 로그인 기록 등을 임의제출 형식으로 넘겨받았다.

앞서 경찰은 "(열차 접근) 경보음을 들었지만 육안으로는 열차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부상자 진술을 확보했으며, 조사 결과와 함께 경보 장치 작동 여부, 근로자 착각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경보 장치가 정상 작동했지만, 근로자들이 반대편(대구 방향) 선로에서 열차가 접근하는 것으로 착각해 피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는지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경찰은 전날 항공철도사고위원회,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등과 합동 현장감식을 진행한 감식결과를 토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할 계획이다. 또 부상자 등의 회복 상태에 따라 진술 조사도 진행할 방침이다.

오는 22일에는 사망자 2명에 대한 부검을 진행해 정확한 사망 원인 등도 밝혀내기로 했다.

한편, 경상북도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사고 정식 명칭에서 청도를 제외해 줄 것을 정부에 공식 요청했다. 이번 사고를 '청도 열차 사고' 등으로 부를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지역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1일 도청 간부회의를 통해 "정확한 사고 식별과 지역 명예 보호를 위해 공식 명칭을 '무궁화호 열차 사고'로 통일해 사용해야 한다"며 "지역사회는 사고 그 자체보다 이후의 명칭과 표현이 남기는 이미지에 더 큰 상처를 입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도는 중앙부처와 유관기관에 명칭 변경을 공식 요청하고, 산하기관과 지역 행정기관에도 협조 공문을 발송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지역명이 사고 명칭에 포함될 경우 지역 경제와 주민 생활 전반에 부정적 파급효과가 우려된다"며 "이번 조치는 사고 원인이나 책임과는 무관하며, 지역 명예 보호와 행정 혼선을 줄이기 위한 용어 정비 차원"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