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과정서 직급 조정·셀프 승진…일부 특별한 이유 없이 승진 누락
원장은 사후 통보 받아 '허수아비'…주요 보직 간부에 줄서기도 만연
대구문화진흥원의 인사권은 기존 간부급 직원들에게만 유리하도록 수차례 변경됐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 취임과 함께 기존 대구문화재단을 비롯한 대구시 산하 기관들이 대구문화예술진흥원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인사권한은 '경영지원부장'이 갖도록 교묘하게 바뀐 것이다.
당초 2018년 대구문화재단 인사 규정에는 인사위원회 위원장을 '대표'가 맡게 돼 있었지만, 외부 위원을 위원장으로 하고 '기획경영본부장'이 당연직 위원인 것으로 바뀌었다가, 2022년 10월 1일 문예진흥원으로 통합되면서 "대구시 담당과장과 진흥원 경영관리부서의 장은 당연직이 된다"고 변경됐고, 이후 2023년 1월 "당연직 대구시 문화기획팀장, 진흥원 인사관리부서장(경영지원부장)"으로 최종 변경됐다.
특히 대구문화재단이 진흥원에 통합돼 출범할 당시 기획경영본부장 자리가 공모 결과 '적임자 없음'으로 공석인 상태였다가 재공모를 통해 기획경영본부장이 임용된 직후인 지난 2023년 1월, 인사 규정은 별다른 이유 없이 당연직을 인사관리부서장(경영지원부장)으로 하는 것으로 최종 개정됐다. 이 같은 인사 규정에다가 인사위원회 구성, 인사(승진) 계획, 인사위원회 개최 추진 등 실질적인 업무 권한까지 모두 경영지원부장이 행사하다 보니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진흥원 A씨는 조직 통폐합 과정을 통해 직급을 조정한 지 1년 만인 지난해 7월 또다시 셀프 승진해 고위직에 올랐으며, B씨 역시 동일한 방식을 통해 9개월 만인 올 4월 셀프 승진했다.
반면 통합 과정에서 산하 기관 7급이 진흥원 5·4급으로 승진해 팀장이 되는가 하면, 문화재단 5급이던 직원들은 근속기간이 이들보다 훨씬 오래됐음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이유 없이 승진에서 매번 누락되는 불이익을 호소하기도 하면서 진흥원의 내홍은 더욱 심해졌다.
인사권을 갖지 못하는 진흥원장은 허수아비일 수밖에 없게 됐다. 최종 승진은 규정상 원장이 정하게 돼 있으나, 인사위원회에서 심의 의결 후 진흥원장에게 문서로 통보하는 형식이 되다 보니 사실상 아무런 권한이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일부 직원들은 "외부 공모를 통해 임명된 진흥원장이나 임기직 본부장은 조직의 생리나 내부 사정을 완전히 파악하기 쉽지 않고, 진흥원장은 규정상으로 인사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하게 못 박아놓다 보니 경영지원부장이 작성한 인사 이동안이 대부분 그대로 실행됐다"고 푸념했다.
또 다른 직원은 "주요 보직을 맡은 일부 간부들에게만 잘 보이면 편안하게 일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자리 잡으면서 그들에게 잘 보이려 이른바 '줄서기'하는 직원들이 생겨났으며, 그에 반하는 직원들은 허위사실 유포나 따돌림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문제 직원'으로 찍혀 감시의 대상이 되는 등 정상적인 업무가 불가능할 정도"라고 호소했다.
문화계에서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서둘러 통폐합한 유례 없는 거대 조직의 내부가 곪을 대로 곪아있다고 지적한다.
한 문화계 인사는 "일부 간부들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투명하고 정당한 인사가 이뤄질 수 없고 카르텔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타파해야 한다"며 "또한 이사회, 임원 추천위원회 구성 등 이들이 어디까지 개입하고 있는지 제대로 감시할 체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인터뷰] 주호영 국회부의장 "절박감·전투력 없는 국힘, 민주당에 못 당해"
국힘 당권주자들, 후보 등록 후 '찬탄'도 '반탄'도 나란히 TK로
한미 관세협상 타결 영향?…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63.3%
기업 옥죄는 '노란봉투법·상법·세제'…벼랑 끝에 내몰린 기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