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내부서도 '자성 목소리'
노조원 매년 이탈, 첫 3만명대…생산직 줄어, 2족 로봇 곧 투입
"투쟁 만능주의, 최우선 바꿔야"
노동조합의 상습적인 파업이 대기업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해외 이전을 할 여력이 없는 협력사들은 '산업 공동화'를 우려하고 있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이달 중순부터 시작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파업의 여파로 주요 제조공장에 생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미국발(發) 관세 전쟁의 여파로 경영 환경이 악화되면서 노사 간 입장차도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기업 경영이 지속되기 어려운 상황에 상습적 파업이 발목을 잡고 있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특히 매년 대규모 파업을 진행하는 현대차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온다. 기존 노조의 뜻에 공감하지 않는 청년층의 이탈도 무시할 수 없다.
실제 현대차가 이달 초 발간한 '2025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노동조합 가입자 수는 3만9천662명으로 조사됐다. 줄곧 4만명 선을 유지해오던 노조원 수가 매년 감소해 처음으로 3만명대로 떨어진 것이다. 2019년(4만9천647명)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다. 정년퇴직 등을 고려해도 급격한 감소세다.
생산직 충원도 과거에 비해 줄었다. 매년 2천여 명의 퇴직자가 나오는 데 비해 신규 채용 규모는 연간 400~800명 수준이다. 앞으로 생산직 채용 규모는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당장 올해 연말까지 휴머노이드 로봇개발 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2족 보행 로봇이 시범 투입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로 기업들의 이탈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대미 투자를 결정한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필두로 한 첨단산업 공정의 해외 진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
대기업의 해외 진출로 중소기업들의 시름도 깊어지는 분위기다. 대구 한 차부품사 관계자는 "최대 시장인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에 공장을 설립하면 관세 장벽으로 부품기업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 현지에 공장을 세울 자금력이 되는 기업은 몇 없을 것"이라고 했다.
재계에서는 노사관계 개선 없이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노사 간 공동체 의식을 확립하고 투쟁 만능주의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 외국인 투자자 역시 한국의 개선 과제로 노동 유연성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꼽는다.
한국경제인협회 관계자는 "노사 대립의 원인이 되는 과도한 노동 규제는 외국인 투자 유치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투자환경 전반에 대한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면서 "경직된 노동시장 규제를 개선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트럼프 "한국 3천500억달러 투자…상호관세 25%→15%" [영상]
'홍준표 키즈'였던 배현진 "폭로·비방하는 노회한 영혼" 직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