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마경대] 회복 불능 수준의 정치

입력 2025-07-31 16:52:32 수정 2025-07-31 19:42:08

경북부 기자

마경대 경북부 기자
마경대 경북부 기자

경북 영주 지역의 정치가 회복 불능 수준까지 타락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지역 국회의원, 영주시장, 경북도의원, 영주시의원 할 것 없이 대다수가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내리고 있어 참담하다 못해 서글프다.

순직 해병 문제로 강제 수사를 당한 임종득 국회의원, 2022년 당시 지방선거 경선 과정에서 유권자에게 금품을 제공한 혐의로 대법원에서 당선 무효형(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이 선고돼 시장직을 잃은 박남서 영주시장, 한 사업가로부터 금품 1억여원을 받아 챙긴 혐의로 구속된 박성만 경북도의회 의장, 공무원들을 통해 무더기 수의계약 공사를 수주한 혐의 등(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뇌물공여, 업무상횡령)으로 경찰 수사를 받고 검찰로 사건이 송치된 우충무 시의원, 불법 건축물 사용 논란을 빚은 이상근 시의원, 이해충돌방지법 위반으로 징계안 처리를 앞둔 우충무·전풍림·이상근 시의원, 선거법 위반으로 2차례나 벌금 80만원을 선고받고 간신히 의원직을 유지한 김화숙 시의원…·. 부정부패로 얼룩졌다.

지난 3년간 지역을 떠들썩하게 했던 납 공장 문제도 가관이다. 시민들이 납 폐기물 제련 공장 건립을 반대하며 온몸으로 투쟁할 때 영주 지역 정치권은 눈을 감고 귀를 막은 채 침묵으로 일관했다.

행정소송이 벌어진 법정에도, 수많은 인파가 모인 집회 현장에도, 시민들 스스로 만든 단체 SNS 대화방에도, 머리를 삭발하는 집회 현장에도 지역 정치는 없었다. 그저 뒷자리의 구경꾼에 불과했다. 단식투쟁 천막에도 역시 정치인은 없었고 위문을 가장한 방문뿐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사태의 심각성도 모른 채 구경꾼 행세를 한 것과 위문객 놀음을 한 것을 SNS에 올려 자랑질까지 했다. 인면수심의 철면피다. 시민들은 "지나가는 개도 웃을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나마 납 공장 문제가 봇물처럼 터져 나온 지난 6월 20일 그동안 방관해 오던 영주시의회가 "납 폐기물 '제련 공장' 특별조사위원회"도 아닌 "납 폐기물 '재생 공장' 대책 특별위원회"를 급조하면서 '제련'이 아닌 '재생'이란 단어를 사용해 시민들의 공분을 샀다.

시민들은 "시의회가 재생 공장인지 제련 공장인지도 구분 못 할 정도면 의원직을 포기하라"고 한다. "도대체 누구의 눈치를 보는 건지 이름조차 제대로 못 쓰느냐"며 결탁 의혹을 제기했다.

더 공분을 산 것은 특위 활동을 하던 한 시의원이 집회에 참석한 한 회사 노조위원장에게 "너희 회사도 위험물을 취급하는데 집회에 나가지 말라"는 협박과 공갈을 한 사실이다.

말 그대로 막장 드라마나 다름없다. 경악을 금치 못한다. 주민들은 "실망과 탄식을 넘어 참담하기까지 하다"며 '쇼' 좀 그만하라고 한다. 정치란 시민의 삶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것이다. 영주 지역 정치권에는 그런 책임감이 보이지 않는다. 그저 다 된 밥에 숟가락 걸치는 정도다.

정치는 시민들을 외면했지만 광장에 모인 시민들의 힘은 결국 '불승인'이란 결과를 이끌어 냈다. 하지만 끝이 아니다. 또 다른 시작이다.

하지만 지역 정치인 중 누구 하나 앞장서 다가올 납 공장 문제에 대한 대책을 준비하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그저 급한 불을 껐다는 식이다. 강 건너 불구경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 시민이 SNS(페이스북)를 통해 A시의원의 과거 행적과 비위 사실, B시의원의 이권 챙기기, C 전 도의원의 비리 의혹 등을 지역사회에 퍼트려 여론의 반향이 뜨겁다. 사실 여부를 떠나 정치권의 도덕성에 대한 경고다.

시민들은 묻고 있다. "왜 정치권이 이토록 무책임한가? 다음 선거에서는 분명히 책임을 묻겠다"고 벼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