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은 국힘' 위기 돌파 방향은? "젊은 주자 전면에, 정책 역량 강화해야"

입력 2025-07-23 18:16:00 수정 2025-07-23 21:02:48

희생 있어야 국민 재평가 가능… "반성과 쇄신 필수"
공천룰 조기 확정 및 투명성 강화도 숙제, 인재 확보 노력도 따라야

국민의힘 황우여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가운데)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선거관리위원회 위촉장 수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황우여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가운데)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선거관리위원회 위촉장 수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위기론'이 팽배한 가운데 당 안팎에서는 위기 극복을 위해 크게 인적쇄신, 공천 개혁, 정책 어젠다 발굴 등이 두루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의 실패에 대해 고통을 서로 분담하는 모습이나 수권 정당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 재도약이 불가능하다는 차원에서다.

정치권에서는 현재 국민의힘의 대선 이후 행보에 '의아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가장 큰 것은 인적쇄신에 대한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천막당사'를 쳤던 2000년대 초반 무더기 불출마 선언까지는 아니더라도, 불과 2023년만 해도 고(故) 장제원 의원이 당내 혁신 요구와 친윤 책임론이 일자 "정부 성공을 위해 백의종군하겠다"며 불출마한 사례가 있다. 현재 상황은 그보다 더욱 엄중한 것을 고려할 때 아무도 희생을 자처하지 않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재평가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한 현역의원도 매일신문에 "소수야당으로서 우리 당의 대여협상력은 우리가 철저히 반성하고 쇄신함으로써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할 때에만 강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천 개혁을 비롯해 당의 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정비 역시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도 높다.

공천 시스템의 문제는 지난 총선 이후 공개된 '총선백서'에서도 지적받았던 부분이다. 당시 백서에서는 현역 의원의 재배치와 같은 비효율적인 공천 사례들로 인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반쪽짜리 시스템 공천'에 그쳤다는 자성과 함께 공천시스템 조기구축 및 투명성 강화 등을 주문한 바 있다.

정책 이슈와 어젠다 선점을 통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주문도 나온다. 국회 의석 수를 비롯해 정치적 지형에서 수세에 몰린 상황이라면 과거 오랜 여당 경험을 살려 '유능한 수권정당'으로 부각될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다.

정치평론가인 이주엽 엘앤피파트너스 대표는 "정책적 전문성 있는 신진정치인들을 전면에 내세워야 한다. 이를테면 정책위의장에 정책 아이디어가 풍부한 초·재선 의원을 기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당의 인적 자원을 폭넓게 확보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