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1일 관세조치 시한 앞두고…美 상무·에너지 장관과 협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미 관세협상 진전과 산업·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미국으로 떠났다. 김 장관 취임 후 첫 방미로, 다음 달 1일로 예고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 시점을 열흘도 채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이뤄졌다.
23일 산업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3박4일 일정으로 24∼2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더그 버검 국가에너지위원회 위원장 등 미국 측 주요 인사를 잇달아 면담한다. 이를 통해 한미 관세협상 진전과 산업·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방안 논의를 위한 장관급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국익 극대화와 상호호혜 원칙 하에 한국 측이 그간 제안해온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관세협상 진전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조선·반도체·배터리 등 전략 산업 분야와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방안도 폭넓게 논의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출국에 앞서 "관세협상의 결과가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파급력이 큰 만큼, 정부는 우리 산업 전반의 민감성 등을 면밀히 고려해 철저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미국 관세조치의 향방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범정부 차원의 긴밀한 공조 하에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협상에 임할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한미간 산업 및 에너지 분야 협력이 한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 '포지티브 섬'(상생)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현재 전방위적으로 고위급 관세협상을 진행 중이다. 전날에는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으로 출국했다. 여 본부장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는 25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2+2 통상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조경태, 강력한 인적 쇄신 강조 "한남동 관저 앞 45명 인적청산"
[단독] 허위 저격 논란 '백종원 저격수'… 과거 허위 방송으로 징계
정부 관심 벗어난 '대구경북신공항'…TK 정치권 뭐하나
홍준표 "해산될 정당으로 안 돌아가…9월부터 홍카콜라 재개"
우상호 "강선우 임명 강행은 與 지도부 의견…대통령 고민 많이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