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섭, 채상병 사건 尹과 통화 사실상 시인…"軍 걱정된다 해"

입력 2025-07-21 12:07:14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해병대 채모 상병 사건과 관련해 경찰 이첩을 보류하라는 지시를 내리기 직전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을 시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 장관 측은 21일 언론 공지를 통해 "윤 전 대통령 전화를 받은 것이 맞고, 군을 걱정하는 우려의 말씀을 하신 것으로 기억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특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50분쯤 윤 전 대통령이 이 전 장관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어와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 결과와 관련해 군이 걱정된다"며 우려의 말을 전했다는 것이다. 수사 외압의 시작점으로 지목됐던 '02-800-7070' 발신자가 윤 전 대통령이라는 사실이 약 2년만에 드러난 셈이다.

앞서 이 전 장관은 지난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54분쯤 이 번호로 걸려 온 전화를 받아 2분 48초간 통화했다.

통화 직후 이 전 장관은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전화해 전날 자신의 결재를 뒤집고 채상병 사건 경찰 이첩 보류 및 국회·언론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 또 이 전 장관은 몇 분 뒤 또다시 전화해 임 전 사단장을 정상 출근하게 하라고도 지시했다.

윤 전 대통령은 같은 날 오전 11시 대통령 주재 외교안보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으로부터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 결과 보고를 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이후 경찰 이첩을 보류시키고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게 VIP 격노설 의혹의 큰 줄기다.

다만 이 전 장관 측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격노'는 없었으며, 통상적인 업무적 통화였다고 했다. 또한 윤 전 대통령이 채모 상병 사건 관련해 특정인을 혐의자에서 제외하라거나 이첩을 당장 중단하는 등 구체적인 지시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 전 장관은 그간 '당시 대통령의 격노로 느낄 만한 기억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으나, 'VIP 격노설'을 인정하는 직접 목격자들의 증언이 계속되면서 태도를 바꾼 것으로 보인다.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도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의 격노설을 사실상 인정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