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알츠하이머 초기 후각 장애와 뇌실 확장 원인 규명
S1P 수치 낮아지면 후각 감퇴·뇌실 확장…알츠하이머 초기 징후와 연관
혈장 주사로 신경세포 회복…S1P 기반 치료 효과 확인
경북대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 확장의 원인을 혈액 속 지질에서 찾았다. 동물 실험과 환자 분석을 바탕으로, 혈장 치료 전략의 가능성도 함께 제시했다.
경북대학교는 진희경(수의학과), 배재성(의학과) 교수팀이 알츠하이머병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 확장이 혈액인자인 '스핑고신-1-포스페이트(Sphingosine-1-phosphate, 이하 S1P)'와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고 17일 밝혔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한 치료 전략 가능성을 제시했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그동안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에게서 후각 장애와 뇌실 확장이 함께 나타난다는 임상 결과는 있지만, 이 같은 증상이 혈액 속 S1P 감소 때문이라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현상을 관찰했다. 이러한 결과는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도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은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한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한 결과,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으며,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진희경 교수팀은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병에서 혈액 S1P가 감소하는 새로운 초기 병인 기전을 제시하고, 이를 타깃으로 한 혈장 치료제의 작용 원리를 규명했다. 향후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는 진희경 교수, 공동교신저자는 배재성 교수, 제1저자는 의학과 최병조 연구초빙교수이며,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7월 1일 자에 게재됐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관세 폭탄에 노동계 하투까지…'내우외환' 벼랑 끝 한국 경제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