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벽돌·유리창 위 기와지붕…한국+서양 조화 '스위처 주택'
마르타 스위처 이방인의 터전…선교사들 인격·신념·선의 스며
◆영원하여라, 청라언덕이여
언덕에 닿기 위해선 반드시 이 계단을 올라야 한다. 지금, 계단 위쪽에서 아래로 따가운 햇살이 내리꽂히고 있다. 다행히 시원한 그늘이 드리워진 계단도 있다. 이마를 타고 흐르는 땀을 닦으며 깊게 숨을 내쉰다. 계단에 얽힌 기억이 떠오른다.
이 계단을 오르내린 일이 한두 번이 아니다. 벚꽃이 분분히 날리던 봄날에도, 숨이 턱 막히던 한여름에도, 낙엽이 흩날리던 가을에도, 눈이 이불처럼 포근히 내려앉은 겨울에도 언덕을 향해 발걸음을 들였다. 그렇게 이곳을 오른 이유는 단 하나, 언덕 위 집들이 그리워서다.
계단을 다 오르니 언덕 입구다. 잠시 멈춰 서서 그림처럼 펼쳐진 여름 풍경을 천천히 눈에 담는다. 키 큰 측백나무들은 가지와 잎을 활짝 펼쳐 언덕을 가로지르는 소로에 너른 그늘을 드리운다. 담쟁이덩굴은 담벼락을 타고 옆으로, 또 옆으로 흘러간다. 붉은 벽돌 주택으로 이어지는 오솔길은 마치 동화 속 산책로처럼 아늑하다. 짙은 그늘을 품은 등나무 벤치에는 정적이 흐른다. 언덕은 도심처럼 숨 막히는 열기로 들끓지 않는다.

예로부터 이곳은 동산(東山)이라 불렸다. 달성 토성 동쪽의 작은 언덕이라는 뜻에서 그렇게 불렸으리라. 이런 유래 때문일까, 이 일대의 법정동 이름이 '동산동'이다. 오늘날엔 '청라언덕'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곳을 자신들의 삶터로 애지중지 가꾼 이들이 있다. 바로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들이다.
문득, 묻게 된다. 무엇이 그들을 머나먼 이곳까지 이끌었을까. 풍요로운 조국을 등지고 말조차 통하지 않는 조선 땅, 그중에서도 대구의 이 언덕에 닿게 했을까? 이 언덕에서 그들은 어떤 마음으로 집을 짓고 삶을 살아냈을까.
먼저 발길은 선교사 묘역인 은혜정원으로 향한다. 그곳에 청라가 유독 무성한 까닭이다. 은혜정원은 대구에서 사역하다 소천한 북장로회 선교사들과 가족들이 잠든 곳이다. 나이가 든 까닭일까. 요즘은 어딜 가든 묘역이 보이면 저절로 걸음을 멈춘다. 그것이 천주교 묘역이든, 개신교 묘역이든, 혹은 오래전 고대국가의 고분이든 상관없다. 이상하게도 그런 곳들이 또 하나의 집처럼 느껴져서 그렇다. 지상에서 고단했던 이들의 삶을 완성해 주는 안식처 말이다.
묻힌 자들은 말이 없다. 다만 그들의 침묵을 대신해 은혜정원 담벼락을 타고 흐르는 푸른 담쟁이덩굴이 나그네에게 눈부신 인사를 건넨다.
"당신의 발길을 반기노라."
청라의 인사는 여름 햇살보다 뜨겁고 어떤 말보다 눈부시다. 흙도, 물도 없는 척박한 담벼락에서 생명을 밀어 잡아끄는 저 담쟁이들. 부디 이 언덕도 저 청라처럼 영원하기를 바란다.

◆마르타 스위처, 그녀의 집으로
선교사 묘역의 한 묘비 앞에서 걸음을 멈춘다.'마르타 스위처(Martha Switzer, 1880~1929)', 그 이름이 묘비에 새겨져 있다. 그녀는 1880년 8월 22일,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태어난다. 뉴욕 컬럼비아대학교를 졸업한 총명한 여성이며 세상의 기준으로 보자면 부족함이 없는 사람이다. 삶이 그녀에게 고생을 요구하지 않았고 그녀 역시 그럴 이유가 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녀는 안온함을 등지고 스스로 고단한 길을 택한다.
마르타 스위처는 1911년 12월 11일, 태평양을 건너 조선 땅에 첫발을 디딘다. 북장로회 선교사 신분으로 이 낯선 땅에 들어온 그녀의 선택은 지금 돌아봐도 경이롭다. 가난하고 낯선 조선, 그중에서도 그녀는 유독 대구와 깊은 인연을 맺는다. 18년 동안 대구와 경북에서 여성 사역에 헌신한 그녀는 1929년, 고작 마흔아홉의 나이로 눈을 감는다. 과로가 원인이다. 자신을 다 바쳐 조선을 사랑한 그녀의 마지막이 안타깝다.
선교사들은 왜 동산에 그들의 집을 지었을까? 그것은 대구 백성들과 가까이 호흡하기 위해서다. 당시 백성들의 삶터는 읍성의 남쪽과 서쪽에 모여 있었고 선교사들 역시 동산에 자리를 잡기 전부터 남성로 일대에서 의료 선교에 힘을 쏟고 있었다. 대구 최초의 개신교 교회인 제일교회 또한 남성로에서 시작하지 않았는가. 선교사들이 청라언덕을 삶터로 삼은 이유가 이렇다.
집 한 채가 세워진다는 것은 단지 건물이 들어선다는 뜻이 아니다. 집 한 채마다 우주처럼 넓고도 깊은 이야기가 스며 있기에 그렇다. 집은 고유한 영혼이며 하나의 성좌다. 스위처 주택, 챔니스 주택, 블레어 주택도 마찬가지다. 각각의 주택은 언덕에 뿌리내린 선교사들의 인격이자 신념이다. 여름날, 담장을 타고 흐르는 청라처럼 이 집들은 이 언덕에서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스위처 주택이 단연 눈에 띈다. 박공지붕을 받치는 한식 기와와 서까래를 얹힌 외관이 시선을 붙든다. 붉은 벽돌과 측면 유리창, 스테인드글라스 창은 이 집을 서양식 주택처럼 보이게 하지만 지붕 위의 기와와 서까래는 분명 한국적이다. 게다가 이 집의 기반은 허물어진 대구읍성의 안산암 성돌로 단단히 다져졌다. 한국과 서양, 전통과 근대의 서로 다른 결이 이 집을 언덕 위로 들어 올렸다.

◆더 오르내리고 싶은 청라언덕
이 집에는 마르타 스위처뿐 아니라 계성학교 4대 교장 핸더슨(Harold H. Henderson 1918~1941)과 동산병원의 기틀을 닦은 캠벨(Archibald Campbell 1890~1977)도 머물렀다. 이 집에 머물고 싶은 손님처럼 스위처 주택 앞에 가만히 선다. 숨을 가다듬고 천천히 집 전체를 바라본다. 붉은 벽돌로 단단히 쌓아 올린 외벽은 이 집이 앞으로도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임을 증명하듯 든든한 기운을 품고 있다.
스테인드글라스 창은 햇살을 머금은 채 은은한 빛을 반사하며 오래된 시간의 잔향을 흩뿌린다. 현관으로 이어지는 돌계단에 살며시 발을 포갠다. 문은 닫혀 있지만 이상하게도 이 집이 빈집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마르타 스위처를 비롯해 이 집을 오가던 수많은 이들의 발걸음 소리가 어렴풋이 들리는 듯하다. 이곳은 이 언덕을 오간 모든 이들의 영혼이 깃든 집이다.
순간, 스위처 주택의 현관문이 "끼익"하고 살며시 열린다. 선교사 마르타 스위처가 천천히 모습을 드러낸다. 단정하게 땋은 머리 위로 챙이 넓은 모자를 쓴 그녀는 잠시 청라언덕을 일별한다.
손에는 성경책 한 권이 들려 있다. 아직은 조선의 아침 공기가 조금 낯설 법도 하지만 그녀의 눈빛엔 선한 의욕이 어른거린다. 그녀는 마침내 한 걸음씩 굳건하게 남성로 방향으로 걷는다. 그녀는 한 줄기 빛이 되어 세상 속으로 걸어 들어간다.
주택 뒤편에 다다르자 묵직한 표정의 뒷문이 모습을 드러낸다. 측면으로 돌아서니 또 하나의 문이 숨어 있다. 키 큰 풀들이 문을 가리고 있다. 현관문까지 포함하면 이 집엔 문이 많다. 지금은 모두 닫혀 있지만 언젠가는 저 문으로 사람들이 드나들었다. 이 집은 마르타 스위처 한 사람만의 공간이 아니었다. 핸더슨, 캠벨, 그리고 이름조차 기억되지 않는 이들까지 이 문들을 열고 나서며 세상과 소통했다.
청라언덕은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다. 이방인의 애씀과 대구 백성의 노고가 차곡차곡 쌓여 이룬 역사적 터전이다. 선교사 주택이 하나둘 들어서고 근대 의료의 맥이 이 언덕에 뿌리를 내리며 이곳은 사람을 살리는 장소로 빚어진다. 담벼락을 타고 흐르는 담쟁이, 고요한 묘역과 붉은 벽돌 주택 곳곳에는 더 나은 대구를 꿈꾸던 선교사들의 선의가 스며 있다.
청라언덕은 계절을 가리지 않고 언제나 나 같은 길 위의 나그네를 반긴다. 이 언덕을 더 자주 오르내리고 싶다. 발걸음을 자주 포개고 싶다. 닫힌 문이 열리고 스테인드글라스 창은 눈부시게 빛나고 정원 사과나무에 주렁주렁 과실이 달릴 때까지 나는 이 언덕을 오를 것이다.

글·사진 양진오 대구대 문화예술학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야고부-석민] 외교 대참사 예고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