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브라질에 50% 관세 폭탄…정치 개입 논란 격화

입력 2025-07-10 17:07:42 수정 2025-07-10 20:37:34

도널드 트럼프(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대화하며 웃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대화하며 웃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브라질을 포함한 8개국에 상호관세 인상을 통보하면서, 무역 보복을 넘어 타국 정치 사안까지 개입하는 행보가 국제사회의 우려를 사고 있다. 특히 브라질에는 기존 10%에서 50%로 무려 40%포인트 인상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 트루스소셜에 브라질, 필리핀, 브루나이, 몰도바, 알제리, 이라크, 리비아, 스리랑카 등 8개국에 보낸 서한을 일제히 공개했다. 서한에는 각국에 적용할 새로운 관세율이 명시돼 있었으며, 이 중 브라질은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정됐다.

브라질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의 재판이 "국제적 수치"라고 비판하며 "이러한 마녀사냥은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브라질에서 표현의 자유가 위협받고 있다며, 정치적 이유를 관세 인상의 근거로 제시했다.

이에 대해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은 "일방적인 관세 인상은 경제 호혜주의 원칙에 반한다"며 보복 조치를 경고했다. 브라질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이 자국 사법 절차에 대한 내정간섭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같은 조치는 브릭스(BRICS) 회원국 전체에 파장을 미치고 있다. 미국과 협상 중인 인도는 트럼프의 강경 조치가 협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인도네시아도 협상단을 급파해 32% 관세율 유지에 대한 외교적 조율을 시도 중이다.

관세 인상 대상 중 하나인 필리핀은 기존 17%에서 20%로 조정된 관세에 대해 "추가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고, 브루나이는 미국과의 무역수지 적자를 이유로 낮은 관세율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스리랑카는 44%에서 30%로 낮아진 관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추가 협상 여지를 남겨두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정책을 외교·정치 수단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뉴욕타임스는 "관세를 외국 사법 절차에 개입하는 수단으로 활용한 이례적 사례"라고 평가했고, CNN은 "트럼프는 과거에도 관세를 정치 압박 수단으로 사용해왔다"고 보도했다.

한편 아세안(ASEAN) 회원국들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외교장관 회의에서 미국발 관세 인상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