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이 전력 수요 증가세가 뚜렷한 아세안 시장을 겨냥해 차세대 전력 솔루션을 선보인다. 글로벌 데이터센터와 제조업 분야의 성장세를 배경으로 베트남 현지 행사에 참가해 기술력을 집중적으로 알린다.
LS일렉트릭은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 베트남 호찌민 사이공전시컨벤션센터(SECC)에서 열리는 '일렉스 베트남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행사 기간 동안 LS일렉트릭은 총 16개 부스 규모로 전시장을 구성해 'LS일렉트릭이 만들어갈 베트남의 미래 에너지 세상'을 주제로 ▲스마트 전력관리 ▲탄소중립(RE100) ▲디지털 전환(DX) ▲스마트 팩토리 등 4개 전시존을 운영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스마트 배전 솔루션'과 '스마트 초고압 변압기'를 연계한 차세대 전력관리 시스템, 그리고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현지 환경에 최적화된 전략 제품들이 전면 배치된다. 특히 LS일렉트릭이 독자 개발한 차세대 ESS 플랫폼은 전력변환 기술과 모터제어 역량을 바탕으로 설계됐으며, 전력전자 기반 인버터 기술이 집약된 제품으로 소개된다.
이 플랫폼은 전력변환의 핵심 부품인 PEBB(Power Electronic Building Block)를 200kW 단위로 모듈화해 스마트한 독립 운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LS일렉트릭은 이번 행사에서 에너지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디지털 솔루션도 함께 선보인다. 디지털트윈 스마트공장 플랫폼 'SMI(Smart Management Insight)', 자산관리시스템(AMS), 에너지 효율관리 플랫폼 '그리드솔 큐브', 전력설비 통합 관리 플랫폼 '그리드솔 케어' 등 IoT 기반의 에너지 솔루션이 소개될 예정이다.
또한 베트남 제조 현장에 특화된 스마트 안전관제 플랫폼 'LS SHE(Safety·Health·Environment) with AI'도 공개된다. 이 솔루션은 인공지능 기반의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 기술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CCTV를 통합해 관제하고 분석할 수 있다.
LS일렉트릭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전략 거점으로 설정하고, 아세안 전력 인프라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국내 전력 기업 가운데 가장 먼저 베트남에 진출한 LS일렉트릭은 현재 저압 전력기기 시장에서 4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는 베트남 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박닌성 옌퐁공단 내 사업장을 확대 이전해 현지 생산능력을 크게 끌어올렸고, 인도네시아 전력기기 전문기업 '심포스'를 인수해 초고압 제품군까지 사업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 4월 발표한 제8차 전력개발계획(PDP8)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와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핵심 정책으로 내세웠다. 이에 따라 태양광·해상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분야는 물론, 전력망 효율화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아울러 아마존웹서비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아세안 지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설립하겠다고 밝히면서 전력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제조업 확장과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구축이 가속화됨에 따라 아세안 각국의 전력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베트남 내 전력기기 시장 1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기반으로, 아세안 전체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