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 기록
라면·소스류 등 가공식품 견인
올 상반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이 66억7천만달러로 지난해보다 7.1% 증가하며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3일 "2025년 상반기 K-Food+ 수출액 잠정치가 지난해 같은 기간 62억2천만달러보다 4억4천만달러 늘어난 66억7천만달러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K-Food+는 농식품과 농산업을 합친 개념으로, 농식품은 신선·가공식품을, 농산업은 스마트팜·농기자재·동물용의약품 등을 포함한다.
농식품 수출액은 51억6천만달러로 1년 전에 비해 8.4%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북미(24.3%), 유럽연합·영국(23.9%), 걸프협력회의(17.8%), 독립국가연합·몽골(9.0%)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분기별 수출액 증가율은 1분기 9.8%, 2분기 7.7%를 기록했다. 주력시장인 미국, 중국, 일본 모두 2분기 수출 증가율이 1분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국은 1분기 25.1%에서 2분기 28.6%로, 중국은 1.0%에서 9.4%로, 일본은 0.8%에서 6.9%로 각각 상승했다.
5천만달러 이상 수출 실적을 보인 가공식품 중 지난해 대비 증가율이 큰 품목은 라면(24.0%), 아이스크림(23.1%), 소스류(18.4%) 등이다. 라면은 7억3천만달러를 수출하며 매운맛에 대한 글로벌 인기와 매운 크림라면 등 신제품이 외국 소비자의 호응을 얻었다. 중국과 미국에서는 현지법인과 대형 유통매장 중심의 안정적인 유통체계가 확립됐다.
소스류는 2억3천만달러를 수출했다. 한식 인지도 확산과 매운맛 라면 인기에 힘입어 고추장, 쌈장, 매운맛 소스, 불고기 소스 등이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아이스크림은 6천550만달러를 수출했다. 수출 실적이 가장 큰 미국 시장에서 대형 유통매장 판매가 증가했고, 유제품 수출이 어려운 캐나다 등에서는 식물성 아이스크림으로 대체해 수출 증가를 이끌어냈다.
2천만달러 이상 수출 실적을 보인 신선식품 중에서는 닭고기(7.9%), 유자(5.5%)가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닭고기는 4천560만달러, 유자는 2천850만달러를 각각 수출했다.
농산업 상반기 수출 실적은 15억달러로 작년 보다 3.1%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동물용의약품(51%), 농약(22.4%), 종자(14.1%), 비료(6.8%) 등이다.
동물용의약품은 1억6천720만달러를 수출하며 51.0% 성장했다. 라이신(동물용 영양제)은 유럽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60.0% 증가했다. 농약은 지난해 64.3% 증가에 이어 올해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며 4억9천만달러를 수출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상반기 견조한 K-Food+ 수출 실적을 발판으로 삼아 연말까지 140억달러 수출 목표가 달성되도록 수출기업의 상품 개발, 해외 온·오프라인 판촉, 관세·비관세장벽 등 컨설팅, 환율·물류 등 수출 리스크 대응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
"김어준 콘서트에 文·김민석 줄참석…비선실세냐" 野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