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수소환원제철 사업에 필요한 전기 확보는 어디서?…원전만이 유일한 대안

입력 2025-07-02 18:48:17

신재생에너지 등은 사업성 부족…기존 제도 보완하면 원전활용으로 충분한 청정 전력확보 가능

포스코 포항제철소 내에 운영중인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 포스코 제공
포스코 포항제철소 내에 운영중인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 포스코 제공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가장 큰 고민인 수소환원제철 사업과 관련된 문제가 국회에서 논의돼 관심을 끌었다.

정부와 철강, 원자력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수소환원제철과 탄소저감을 위한 원전 활용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손병수 포스코홀딩스 원자력추진TF 상무는 "수소환원제철을 위해선 기술개발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연간 수십 테라와트시(TWh)의 전기인데, 이를 안정적으로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선 원전 외에는 없다"며 "원전 전력을 민간기업이 직접 조달할 수 있는 제도개선을 살필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철강생산에 국내 재생에너지를 확대할 경우 기존 고로 대비 생산 단가가 2배 이상 높아지고, 해외 그린수소를 도입하면 운송비만 t당 3달러 이상 소요돼 사업성이 부족해진다는 것. 결국 국내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전력 조달 방안은 원전 활용 밖에 없는 셈이다.

포스코는 2030년까지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한 뒤 2040년 이를 확대 적용하는 게 목표다. 순차적으로 수소환원제철사업이 진행돼 탈탄소 목표시점인 2050년이 되면 포스코가 필요한 무탄소 전력은 8GW, 청정수소는 200만t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손 상무는 수소환원제철 전력 확보를 위해 회사 차원에서 원전 전력구매계약(PPA)을 맺거나 신규원전 건설 자금을 직접 대는 방안을 제안했다.

물론 이 같은 방식이 적용되기 위해선 제도적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무환 전 포스텍(포항공대) 총장은 "산업계가 탈탄소 전환을 하는데 있어 기저전원으로 원전은 재생에너지와 함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전은 산업전환에 있어 새로운 에너지 체계의 버팀목으로 인식돼야 한다"며 폭넓은 원전활용에 힘을 보탰다.

토론회를 주최한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수소환원제철은 철강 산업의 생존 전략이자 국가 탄소감축 목표 달성의 핵심 기술"이라며 "국회가 앞장서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