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1인 가구 고독사 실태 첫 전수조사…7.6% '위험군'

입력 2025-07-02 16:18:54 수정 2025-07-02 21:28:08

남성 위험군 비율 여성보다 1.7배 ↑…쪽방, 여관 등 주거 취약지 가구 고위험군 두드러져
市, 주거 취약계층 중심 집중 조사체계 강화

낮 최고기온이 32도까지 오르며 무더운 날씨를 보인 23일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 골목에 쿨링포그가 가동되고 있다. 연합뉴스
낮 최고기온이 32도까지 오르며 무더운 날씨를 보인 23일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 골목에 쿨링포그가 가동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 지역 1인 가구의 7.6%가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석됐다. 주거 취약층 등 복지 대상자일수록 고독사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대구시가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대구 지역 1인 가구 7만8천33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고독사 위험군 비율은 7.6%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남성 위험군 비율(9.3%)은 여성(5.5%)보다 약 1.7배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노년층(65세 이상) 위험군 비율이 9.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장년층(50∼64세) 8.2%, 중년층(40∼49세) 7.2% 순이었다.

특히 거주 유형별로는 쪽방·여관(24.5%), 고시원(22.1%) 등 주거 취약지에 사는 가구에서 고위험군 비율이 두드러졌다.

가족관계 요인에 따라서는 이혼(14.1%), 사별(10.8%) 등 가족관계 단절을 겪은 응답자에서 상대적으로 고위험군 비율이 높았다.

근로 여부에 따른 차이도 뚜렷했다. 무직자의 고독사 위험군 비율은 17.6%로 높게 나온 가운데 질병으로 인한 무직의 경우 고위험군 비율이 22.6%에 달했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복지수급자의 위험군 비율(31.7%)은 비수급자(5.5%)의 약 6배에 달했다.

대구시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쪽방, 고시원 등 주거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집중 조사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복지 대상자일수록 외부와 단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복지 수급정보와 연계해 시스템을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