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투자 확대·주주가치 제고 등 전사적 ESG 경영 강화
㈜영풍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중장기 감축 목표 및 전략을 수립했다.
아연 제련 공정에서의 직·간접 배출은 물론 공급망 전체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까지 포괄하는 전방위 대응체계이다.
영풍은 2일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ESG 보고서)를 발간하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에 발맞춰 2030년까지 기준도 대비 11.4% 감축, 2040년 60% 감축, 2050년 완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했다.
이를 위해 ▷전력구매계약(PPA) 체결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구매 등을 통해 전력 부문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감축이 어려운 잔여 배출량에 대해선 오프셋 크레딧(Offset credit)을 구매해 상쇄 전략을 병행, 기후 위기에 선제적 대응키로 했다.
공급망 전반의 온실가스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코프 3(Scope 3) 인벤토리 체계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원자재 조달부터 제품 사용 및 폐기까지 전 생애주기(Life Cycle)에서의 탄소 배출을 정밀하게 추적·관리할 방침이다.
그동안 ESG 경영을 실천해 온 영풍은 2021년 석포제련소에 세계 제련업계 최초로 무방류 시스템(Zero Liquid Discharge)을 도입, 수자원 보호 및 재활용을 실현했고, 2022년에는 오염수 유출을 차단하는 지하수 차집시설을 구축했다.
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운영해 전력 피크 시간대의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했을 뿐 아니라 경북 봉화군 오미산 일대에 조성 중인 60.2MW 규모의 풍력발전단지에 제련소가 보유한 154kV 특고압 송전선로를 매년 무상으로 제공, 친환경 전력 인프라 구축에도 기여했다.
지배구조(G)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주식 10대1 액면분할을 단행했고, 2026년 3월까지 보유 자사주를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별도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의 30%를 주주환원에 활용하는 중장기 정책도 추진 중이다.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조건이라"는 영풍 관계자는 "인식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 전 부문에 책임 있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탄소중립 목표도 실행력을 바탕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정진호의 每日來日] 청포도의 꿈, 청진과 포항 쇳물로 길을 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