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본고장 일본서 전자판 비중 10년 새 20%→73%로
현지에 진출한 국내 전자만화 플랫폼도 빠르게 성장
일본 대표 스포츠 만화 '슬램덩크'가 처음으로 디지털판으로 발간 소식을 전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25일 만화계에 따르면 '슬램덩크'를 그린 이노우에 다케히코(井上雄彦) 작가는 최근 자신의 엑스(X)를 통해 "6월 2일부터 '슬램덩크'를 디지털판으로도 구독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디지털판 '슬램덩크'의 장점을 언급했다. 작가는 "책의 제본된 부분, 이른바 '책목'이라고 불리는 펼치기 어려운 부분도 제대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큰 태블릿 기기로 보면 "원고에 가장 가깝고 읽기 쉬울지 모른다" 설명했다.
종이책으로 보는 경우 마주 보는 두 페이지에 걸쳐 큰 그림을 담은 1컷 장면의 중간에 접합부가 위치해 보기가 어려운데 큰 화면으로 감상하면 이런 문제가 해소된다는 의미다.
일본 만화계에서는 이노우에 작가 외에도 디지털화를 꺼리는 기성 작가가 적지 않았다. 또 다른 일본 유명 만화 '20세기 소년', '몬스터'를 그린 우라사와 나오키(浦澤直樹)는 공공연히 전자 만화를 펴내지 않겠다고 말하던 작가로 유명했다.
하지만 최근 우라사와 작가와 모리카와 작가는 각각 2021년에 일부 작품 디지털화에 동의했다.
이에 일본 만화시장에서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으로 보는 독자 비중이 늘고 있는 데다가 유명 만화까지 디지털화를 꾀하면서, 이제는 일본에서 전자만화가 대세가 되어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는 전자만화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일본 전체 만화 시장의 70%를 차지하게 된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 전국출판협회·출판과학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만화시장의 규모는 전년보다 1.5% 증가한 7천43억엔(약 6조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e북 만화책과 웹툰을 아우르는 전자만화 시장 규모는 5천122억엔으로, 전체의 72.7%를 차지했다. 종이 단행본의 규모는 1천472억엔, 만화 잡지는 449억엔으로 파악됐다.
전자만화 시장은 2014년 조사 당시만 하더라도 887억엔 규모로, 전체 시장의 19.9%에 그쳤지만, 10년 사이 폭발적으로 커졌다.
한편, 라인망가, 픽코마 등 현지에 진출한 국내 전자만화 플랫폼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웹툰 계열사 라인디지털프론티어는 라인망가 외에도 이북재팬을 통해 만화 등 e북 160만 권 이상을 서비스하며 규모를 키우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과학관 내부 성범죄 묵인…'재워주겠다' 발언에 신체 접촉까지
민주당 압박에 '흔들리는 법원, 무너지는 검찰'…내부선 "스스로 지켜야" 목소리
김미애 "이재명 'HMM 부산 이전 공약' 철회, 부산시민께 사과해"…민주 "공약대로 추진"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1차 시한' 넘겨…앞으로 지지율이 변수
국방부 "주한미군 4500명 이동 배치, 韓美 논의사항 전혀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