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들의 北인권 침해 참상 증언
北 주유엔 대사, 탈북자에 "쓰레기"
북한 당국의 주민 인권 침해 상황을 다루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의가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총회 회의장에서 열렸다. 북한 인권과 관련해 유엔총회 차원에서 처음 열린 고위급 회의다. 이 자리에는 국제인권단체와 탈북자들이 발언자로 나섰다. 이들은 경험담과 목격담을 생생히 전하며 북한의 인권 침해 실상을 고발했다.
1999년 탈북한 인권운동가 김은주 씨는 11살 때 기아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 언니와 함께 두만강을 건넜다. 그러나 중국 땅을 밟자마자 이들을 기다린 건 인신매매 조직. 2천 위안(미화 300달러)에 한 명씩 팔려가야 했던 지옥 같은 경험 등을 전했다. 그는 "젊은 북한 군인들이 러시아를 위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돼 현대판 노예제도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며 "누구와 싸우는지, 왜 싸우는지도 모른 채 김정은 정권의 돈벌이 수단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북한 인권 실상을 증언한 또 다른 탈북자는 강규리 씨였다. 2023년 일명 '속초 목선 귀순'으로 대한민국 땅을 밟은 그는 2020년 창궐했던 코로나19 봉쇄가 북한 당국의 완벽한 자유 억압 구실이었다고 했다. 강 씨는 "친구 중 세 명이 처형됐었는데 그중 두 명은 단지 한국 드라마를 배포했다는 이유였다. 한 명은 겨우 열아홉 살이었다"고 했다.
당사국 자격으로 나선 김성 북한 주(駐)유엔 대사는 탈북자들에게 "개탄스러운 것은 자기 부모와 가족조차 신경 쓰지 않는 '인간쓰레기'(scum)를 증인으로 초청한 것"이라며 거친 막말을 쏟아냈다. 이어 "북한인권위원회 같은 단체들은 한·미를 포함한 적대적 정부의 후원 하에 조작된 증언을 제공하는 인권 하수인들의 집단"이라고 주장했다.
우리 측 황준국 주유엔대사는 "북핵과 인권 상황은 깊이 연결돼 있고 북한 정권의 진정한 본질을 반영한다. 인권 침해가 중단된다면 핵무기 개발도 중단될 것"이라며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은 계속해서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약화하면서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회의는 유엔총회가 지난해 12월 채택한 북한인권결의에 따라 개최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2016년 북한인권법을 제정한 바 있으나 더불어민주당이 이사 추천 등을 주저하면서 핵심 기구인 북한인권재단 출범도 지연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TK 지지율' 김문수·이준석 연일 상승세…이재명은?
이재명, '방탄 유리막' 안에서 유세…대선 후보 최초
1차 토론 후 이재명 46.0% 김문수 41.6% '오차범위 내'
전한길 "은퇴 아닌 사실상 해고…'좌파 카르텔'로 슈퍼챗도 막혀"
[르포] '추진력' 이재명이냐 '청렴' 김문수냐…경기도 격전지 민심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