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 모금 2천억원 '역대 최대'…배분 기준 곧 나온다

입력 2025-05-19 17:14:03 수정 2025-05-19 19:19:09

행안부·道, 협의회서 규모 논의
생계비 300만원 순차 지원…주택 전소 세대 1억원 이상 전망
지자체별 지정 기부금은 '자율 배분'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과는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과는 '2024년 실적 부서평가 시상식'에서 우수부서로 선정돼 수상한 포상금 200만원을 청송군에 산불 피해극복 성금으로 전달했다. 경북도 제공.

경북 북동부권 산불 피해 성금이 1천700억원에 이르러 역대 최대 금액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5개 시·군에 접수된 지정 기부금이 300억원을 넘어 성금과 기부금을 합해 총 2천억원 이상으로 잠정 집계됐다.

19일 경상북도와 재해구호협회, 적십자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각 모집기관 등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산불 피해 성금은 약 1천710억원이 모금됐다. 각 기업·기관 단체 등이 경북도로 기부한 성금도 포함됐다.

여기에 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북동부권 5개 지자체에는 고향사랑 기부금 등 산불 지정기부 형태로 330억원 수준의 성금이 답지했다. 안동 85억여원, 영덕 78억여원, 의성 74억여원, 청송 55억여원, 영양 39억여원 등이다.

이는 2022년 3월 울진 산불 피해 당시 모인 성금(약 827억원)의 2배를 훌쩍 넘어 3배에 가까운 금액이다.

행정안전부와 경북도는 각 모집기관과 조만간 기부금협의회를 열고, 산불 성금 배분 항목 및 규모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우선 지난달부터 이재민 생계안정을 위해 1인당 긴급 생계비 300만원을 각 시·군별로 순차적으로 지원했다.

이번 산불은 역대 가장 많은 성금이 모였지만, 피해 규모도 역대 가장 컸기 때문에 피해 세대별 전체 지원금액은 울진 산불 당시 세대별 지원액(1억3천만원)과 비슷하거나 다소 줄어들 전망된다.

경북도는 주택 피해에 대한 지원 기준 등을 상향해 1억원 이상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더해 각 시·군별로 지정 기탁된 산불 피해 기부금의 경우 지자체가 배분 기준을 정한다. 지자체 배분 기준에는 농·어·임·축산업 등 피해 현황, 주택 반소·전소 여부, 사망자 발생 여부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산불 피해 5개 시·군에서 주택 전소 피해를 입은 세대의 경우 정부 지원금과 성금을 합한 금액(최소 1억원 이상)에 더해 추가로 기부금 지원도 받을 전망이다. 이외에도 도는 농업 작목별로 지원 단가와 지원율 등을 상향·확대하는 한편, 생계비 지원 등을 별도 추진 중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시·군으로 전달된 산불 피해 성금의 경우 해당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배분 기준을 마련한다. 모집기관을 통해 모인 국민 성금은 조만간 정부에서 이를 정해 주민들에게 지원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산불 피해 성금 모금은 이달 말까지 계속된다"며 "이번 산불로 역대 가장 많은 성금이 모였지만, 피해 규모도 가장 컸기 때문에 각 세대별로 수령하게 되는 지원액은 울진 산불 때 수준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